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물은 왜 끓으면 기체로 변할까여? 궁금합니다

물은 왜 끓으면 기체로 변할까?
물의 상태 변화 과정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끓는점과 기체 상태로의 변화가 일어나는 과정은 무엇인지, 그리고 이 현상이 다른 물질에서도 발생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정철 박사
    정철 박사
    고려대학교 화학과

    안녕하세요. 정철 박사입니다.

    물이 끓어서 기체가 되는것은 그 물질의 물성입니다.

    고체 액체 기체는 물질의 삼상으로 물질이 가지는 기본 물성입니다.

    굳이 표현하자면 물이 끓어 끓는점이 되면 물분자는 더이상 액체로서 존재 할 수 없을정도가 되기 때문에 수증기기로 날라 가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전문가입니다.

    물은 가열되면서 온도가 상승하고, 1기압에서 섭씨 100도에 도달하면 끓기 시작합니다. 이때 액체 상태의 물 분자들이 충분한 에너지를 얻어 서로의 인력을 이기고 기체 상태로 변하게 됩니다.

    끓는점에서는 가해진 열이 온도 상승에 사용되지 않고, 물이 기체로 변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러한 상태 변화는 다른 물질에서도 발생하며, 각 물질마다 고유의 끓는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끓는점은 외부 압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