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오스 내전이 일어난 배경이 궁금합니다.
1959년부터 1975년까지 라오스에서는 내전이 발생하였었다고 알고있는데요.
이 당시에 라오스 내전이 일어나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 2차 세계대전 당시 약 5개월 간 라오스를 점령하던 일본이 패망하자 라오스 민족주의자들을 중심으로 독립운동이 전개, 라오 이사라 라는 조직을 결성해 재식민화 계획을 가지고 있던 프랑스를 대항해 무조건적 독립을 주장했습니다.
프랑스는 1949년 7월 프랑스 연방 아래에서의 자치를 허용해 라오스의 독립을 공식적으로 인정, 이후 1953년 10월 22일 라오스는 입헌군주제의 왕립라오정부를 세우며 주권국가로서의 지위를 확보했고 프랑스 세력은 완전히 물러나게 됩니다.
독립 후 공산정권이 수립될 때까지 22년간 라오스 국내 정치는 국제정치의 냉전적 구도의 전유물이 되었고 라오스의 국민국가 과정은 외세, 특히 미국이나 북베트남의 영향을 받는 우익, 중도, 좌익 당파들의 이합집산을 통한 세 차례 연립정부의 부침, 그리고 이 과정에서 발생한 것으로 요약됩니다.
1957년 11월 우파인 왕립라오정부, 좌파인 라오애국전선, 수바나 푸마로 대표되는 중도파가 첫 연립정부를 구성, 그러나 1958년 실시된 선거에서 좌파가 승리를 거두자 미국은 라오스에 대한 원조를 중단하겠다고 선언, 이에 왕립라오정부는 좌파 세력을 대표하는 스파누보을 감옥에 가둡니다. 후 좌파와 우파 간의 치열한 내전이 벌어졌고 1961년 ~1962년 까지 정전이 이루어지고 제 2차 연립정부가 성립되었으나 이 역시 1년도 가지 못해 붕괴, 다시 내전으로 이어졌습니다.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라오스 내전의 배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라오스 내전은 파테트 라오와 라오스 정부군 간에 일어난 전쟁이며 라오스 왕국 정부의 파테트라오 탄압이 원인이 되었습니다.
파테트 라오는 1950년 8월에 결성된 단체이며 "조국 라오스"라는 뜻을 가진 공산당입니다. 이들은 항불전쟁 당시 베트민과 연합하여 프랑스에 맞서 싸웠고, 이후 베트남 전쟁에서는 미국에 맞서 싸웠습니다.
파테트 라오의 지도자 쑤파누웡은 라오스 공산 임시정부를 만들어 스스로 수상을 자임했습니다. 이후 라오스의 북부를 파테트 라오가 장악하면서 우파 민족주의자와 좌파 민족주의자 간의 내전이 일어났으며, 바로 옆나라 베트남에서도 북베트남과 남베트남 간의 전쟁이 발발하면서 라오스 내전 또한 냉전으로 확대되었습니다.1954년 4월 제1차 제네바 협정에 따라 라오스의 중립안이 보장되면서, 평화와 중립을 지킨다는 명목으로 중립군이 창설되었다고 합니다. 이 중립군은 많은 인원과 무기를 지원받는 등 좋은 대우를 받았고 이후에는 라오스 내전이 발발하면서 우파, 중립파, 좌파의 충돌이 벌어졌습니다.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라오스 내전은 1954년부터 1975년까지 라오스에서 벌어진 내전입니다. 이 내전은 프랑스로부터 독립한 라오스에서 라오스 정부군과 라오스 인민혁명당(LPRP) 사이에 벌어진 전쟁입니다.
라오스 내전의 배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프랑스로부터 독립한 라오스에서 좌파와 우파의 정치적 대립이 심화되었습니다.
라오스 인민혁명당(LPRP)은 공산주의를 추구하는 정당으로, 라오스 정부군은 친미 정권을 유지하고자 했습니다.
미국은 라오스 정부군을 지원했고, 소련은 라오스 인민혁명당(LPRP)을 지원했습니다.
라오스 내전은 1975년 라오스 인민혁명당(LPRP)의 승리로 끝났습니다. 라오스 인민혁명당(LPRP)은 라오스에서 공산주의 국가인 라오스 인민민주공화국을 수립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좋은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