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태푸의 눈은 잠잠하다고 하던데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태풍이 오면 주위에 바람이 많이 불고 비도 엄청 많이 오던데 태풍의 눈은. 잠잠하다고 하더라구요. 태풍의 눈이 잠잠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화목한다람쥐109
      화목한다람쥐109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반시계방향(남반구에서는 시계방향)으로 구름이 회전운동을 하며 더 모여들면 소용돌이 중심부에 강한 원심력이 생긴다. 주위에서 불어 들어오는 바람이 지속적으로 중심부로 밀려 들어오면 원심력과 기압경도력이 거의 평형을 이루어 바람이 중심부로 들어 오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그래서 태풍의 눈은 잠잠한 상태입니다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태풍의 눈은 중심 고기압 영역입니다. 태풍의 주요 원동력인 온도 차이와 습도 차이로 인해 태풍이 형성되면, 중심에는 상당한 기압 하강이 발생합니다. 그러나 태풍의 눈은 중심에 위치한 고기압 영역으로, 상대적으로 고압이 형성됩니다. 이러한 고압 영역은 주위의 대기와 비교하여 평화롭고 잠잠한 상태를 유지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형윤 과학전문가입니다.

      태풍의 눈(eye)에서는 바람이 거의 없는 상태인 것은, 태풍의 회전 구조 때문입니다. 태풍은 중심부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강한 바람과 함께 이동합니다. 이러한 바람이 회전하면서 생기는 켤레기효과(Coriolis Effect) 때문에, 태풍의 중심부 근처에서는 바람의 속도가 매우 느려지게 됩니다. 이로 인해 태풍의 눈에서는 거의 바람이 없는 상태가 되는 것입니다. 또한, 태풍의 눈 주변의 고기압 지대와 눈 안쪽의 저기압 지대가 서로 상쇄되는 영향도 있습니다. 이러한 원리로 인해 태풍의 눈은 비교적 고요한 상태를 유지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태풍구름의 위쪽에서는 바람이 몰려들어 태풍의 눈안쪽으로 쏟아죄내려옵니다.

      따라서 눈에서는 하강기류가 강하고 고기압이 유지되어 맑은상태가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이게 그림으로 그리며 좋은데

      태풍의 눈은 태풍이 회전하는 곳으로 그곳은 공기가 옆으로 가는게 아니라 아래로 떨어지는 공기여서 바람이 거의 없는 얌전한 구간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위성사진으로 태풍을 보면 태풍 중심부에 하얀 작은 점이 보이는데 이것을 ‘태풍의 눈’이다. 실제 크기는 10~100km 정도다.

      이곳에서는 바람이 전혀 없는 고요한 곳이다. 그러나 조금 뒤 나타날 최대 풍속이 지나는 것을 예고하는 곳이기도 하다. 그래서 일상에서 ‘태풍의 눈’이라는 표현은 참사 직전의 상황에 빗대어 사용하기도 한다.


      태풍의 눈이 지난 직후 가장 낮은 기압위치가 지나가게 되어 해안가와 겹치게 되면 기압이 낮아 바닷물의 높이가 최대 10m까지 높아지기도 한다. 만조와 겹치게 되면 해일 수준으로 아주 위험하다. 그래서 태풍의 눈 바로 옆 위치는 기압이 가장 낮기 때문에 풍속도 가장 세다.


      태풍의 눈이 형성되는 이유는 낮은 저기압일수록 더 빠른 속도로 태풍 중심방향으로 회전 이동하지만 회전반경이 작아지면서 구심력과 동시에 회전속도가 빨라 원심력도 커져 구심력과 원심력이 평형을 이뤄 더 이상 내부로 들어가지 못해 작은 공간이 형성된다.


      위성사진에서 볼 때 태풍의 눈이 선명하면 할수록 태풍의 강도는 더 크다.


      큰 욕조의 물이나 저장된 물이 빠질 때 작은 구멍을 형성하면서 아래로 빠지는 것과 같은 이유다. 큰 회적속도와 함께 많은 물이 빠질 때 구멍이 선명하게 보이는 이유다.


      출처 : 매일안전신문(https://m.idsn.co.kr)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태풍의 눈은 태풍의 중심 부분에 형성되는 상대적으로 잠잠한 지역을 말합니다. 태풍의 눈은 일반적으로 지름이 몇 십 킬로미터에서 몇 백 킬로미터에 이르는 넓은 지역을 포함하며, 주변의 강력한 바람과 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날씨가 가라앉고 평온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태풍의 눈이 형성되는 이유는 태풍의 구조와 관련이 있습니다. 태풍은 중심에 있는 낮은 압력으로 인해 주변의 공기가 중심으로 흘러들어와서 회전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태풍의 중심 부근에는 공기가 상승하여 냉각되고, 상승하는 공기는 수증기를 포함한 수분을 잡아두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수증기는 응결되어 구름과 강한 강수로 이어지며, 이는 태풍의 외부 영역에서 강력한 바람과 폭우를 초래합니다.

      그러나 태풍의 중심인 눈은 이러한 과정과는 반대로 작용합니다. 태풍의 눈은 상승하는 공기가 다시 내려오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공기가 하강하고 압축됩니다. 이로 인해 공기는 데스티니라는 관성 원리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서 평온하고 안정한 상태가 유지됩니다. 따라서 태풍의 눈은 일반적으로 바람이 약해지고 하늘이 맑아지며 비가 멈추는 조용한 지역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기압경도력과 원심력이 매우 크므로 전향력과 마찰력이 무시되어 선형풍이 불게 되는데 이때 밖에서 들어오는 공기가 더이상 태풍의 중심으로 들어가지 못하고 중심을 돌면서 상승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로인한 공기의 보충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태풍의 중심에서 약한 하강기류가 생성되는 것입니다.



      좀더 자세히 말씀드리면



      태풍의 중심부(태풍의 눈이 아닌 중심부 전체를 의미)는 저기압이기 때문에


      공기가 밖에서 안으로 불어들어오게 됩니다.


      또한 회전하면서 들어오게 되는데요 중심부로 가까워질수록 회전속도가 빨라지고, 이에 따른 원심력이 커지게 되면


      기압경도력(안으로 불어들어오는 기압의 힘)과 원심력이 평형을 이루는 구간이 생기게 됩니다.



      이 평형을 이루는 구간을 기준으로 태풍의 눈이 형성되게 됩니다.



      따라서 태풍의 눈은 약한 하강기류가 발생하기때문에 구름이 생성되지 못하고 잠잠한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듯, 대기는 고기압에서 저기압으로 흐른다. 또한 위에서 북반구에서는 대기의 진행 방향이 오른쪽으로 꺾인다고 하였다. 즉, 저기압으로 흘러들어가는 대기는 정방향에서 오른쪽으로 꺾여들어간다. 이를 위의 그림처럼 나타내면, 공기가 저기압 중심부를 향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들어간다는 것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고기압에서는 반대로 공기가 시계 방향으로 흘러나온다.) 이는 당연히 태풍을 포함한 열대성 저기압도 예외가 아니므로, 북반구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아주 강하게 회전하는 바람이 불게 된다.

      각운동량 보존 법칙 때문에 태풍의 중심부로 갈 수록 풍속이 더욱 빨라지는데, 이 때문에 회전축 부근에서는 강한 원심력 때문에 중심부로 바람이 침투하지 못한다. 계속되는 상승기류로 고고도에 쌓여 고기압이 된 상층부의 대기가 이 틈을 타서 텅 빈 중심부로 빠져나가 하강기류를 만들어낸다. 그래서 열대성 저기압의 중심부는 구름 한 점 없는 맑고 잔잔한 곳이 되며, 이것이 우리가 알고 있는 '태풍의 눈'이다.

      따라서 태풍의 눈은 약한 하강기류가 발생하기때문에 구름이 생성되지 못하고 잠잠한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