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는 아무런 생각이 없는데 부모만 열심히 공부를 시키는것도 효과가 있을가요?
아이는 워낙 공부라는것에 대해서 잘 모르겠지만 이런 아이들에게 부모들은 공부를 시키고 싶은 마음이 있어서
열심히 시키는데 효과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는 아무런 생각이 없다 라는 것은
무언가를 할 시도조차 하지 않고, 매사 무상무념 즉, 무언가를 하고자 하는 의욕이 없다 라면
아이에게 흥미, 재미, 관심의 세 가지 요소를 알려주는 것부터가 시작 입니다.
그리고 나서 학습을 해야만 하는 학습의 동기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설명을 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학습 이라고 하는 것은 부모만 열심히 노력과 아이의 노력이 함께 발맞춰 걸어가야 합니다.
또한 부모님이 욕심을 내세우며 강압적이고 권위적인 학습을 진행하긴 보다는 아이의 현재 상태 즉, 수준을 고려하고 아이의 흥미, 관심, 재미 요소를 살펴가며 학습을 진행하는 것이 도움이 되겠습니다.
무엇보다 아이가 하고자 하는 의욕이 있어야 학습을 하는데 있어서 큰 어려움이 발생하지 않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수진 유치원 교사입니다.
아이에게 공부를 강요하기보다는 무엇이 좋은지 설명하고 스스로 공부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좋습니다. 긍정적인 동기 부여가 중요합니다. 아이와 함게 작은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는 과정을 통해 성취감을 느기게 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는 아무런 생각이 없는데 부모만 열심히 공부를 하는건 효과가 크지 않으니 아이가 관심을갖게끔 유도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공부에 흥미를 느끼도록 도와준느 것이 중요합니다. 다양한 방법으로 재미있는 학습 자료를 제공하거나 놀이와 결합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유도해 보세요. 공부는 단순한 학습 활동이 아니라 일상생활과 연결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공부에 흥미가 없고 목표가 없다면 따라갈수는 있을것입니다
허나 어느정도 그 한계치는 있을수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흥미와 동기를 느끼지 못한다면 효과가 낮습니다. 놀이와 호기심을 자극하는 방법이 더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효과가 거의 미미합니다. 결국 아이는 본인이 마음을 가지고 있지 않음에도 억지로 공부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아이는 결국에는 지치기 마련이고 보호자가 원하는 기대치만큼 따라오지 않아 가정 내에서 갈등이 야기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아이에게 동기 부여를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