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성 보험을 가입했는데 은행이 이자를 더 주는경우 해약하면 손해인가요?
저축성 보험을 가입을 해서 만기되면 이자 보장이 좋은데
혹시나 은행에서 더 많은 이자를 준다고 해서
저축성 보험을 해약을 하게 된다면 손해가 큰가요?
안녕하세요. 남현아 보험전문가입니다.
은행상품은 단기간 운용시 유리 합니다.
장기간으로 가져 간다면 보험 만큼 좋은 이자율은 없습니다.
보험 해약은 손해가 많으니 납입보험료를 줄이고 유지 하는 것이 좋습니다.
줄인 만큼 은행상품에 가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사에 가입된 저축섬보험은 중도에 해지를 해야 한다면 손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만기전에는 납입한 원금보다 해지환급금이 적을 수 있습니다 은행은 원금은 보장이 되지만 보험사의 저축성은 그렇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빈 보험전문가입니다.
저축성 보험은 해지하는 순간 후회합니다. 일단 몇달 부으셨으면 그것만해도 손해액이 몇십만원이실 겁니다.
최대한 버티시다가 도저히 못참으면 가족분들에게 도움을 요청하셔서 형편이 좋아질때까지만이라도 참아달라고 하는것이 맞다고 할 정도로 아쉽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문효상 보험전문가입니다.
가입한지 얼마 안되서 해약을 하게 되면 보험같은 경우는
원금이 손해가 올 수 있기 때문에 손해를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보험전문가입니다.
저축보험은 만기를 채우지 못한 채 해지하면 원금을 다 돌려받는 구조가 아닙니다.
저축보험의 가장 큰 단점으로 조기에 중도해지할 경우 해지환급금이 납입원금보다 적을 수 있습니다.
이는 보험료에 보험 사업비가 포함되어 있어 원금에서 사업비를 먼저 차감하고 운용하기 때문 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보험전문가입니다.
저축보험은 보통 10년전후가 되야 원금이 됩니다. 적금과 비교하면 손해입니다만 생각하기에 따라서 원금이라도 모아온것을 생각해볼수도 있습니다. 저축보험은 20-30년정도 굴려야합니다. 그게 안되면 안하느니 못하죠
안녕하세요. 김동우 보험전문가입니다.
은행과 보험사를 비교하면 은행은 보험사의 이자율을
따라올 수 없습니다.
또한 은행에서 하는 적금은 만기 시 이자를 내야 하지만
보험사는 그렇지 않죠.
특판이라고 해서 5%나 6%이자를 준다고 하지만
우대금리를 받기 위해선 각종 공과금이나 월급 등
해당 은행이나 금고로 자동이체를 바꿔야 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현재 보험사에서는 저축보험을 판매하고 있지 않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래요~
안녕하세요. 김재철 보험전문가입니다.
저축성 보험을 중도 해약하면 손해가 클 수 있어요. 왜냐하면 초반에 사업비등 차감되기에 해약하면 원금보다 적은 돈을 돌려받을 수 있거든요.
안녕하세요. 김진오 보험전문가입니다.
우선 저축보험은 중도 해지 원금 보다 환급금이 적을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중도 해지는 신중하게 결정을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장재영 보험전문가입니다.
저축성 보험의 단점이 보험계약이다보니
만기나 큰수익 등이 확정되기 전에는 패널티가 있습니다.
계약 상황을 잘 확인하여 은행 상품을 가입을 고려해보셔요.
큰틀에서 2개다 금융상품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성훈 보험전문가입니다.
저축성 보험은 보통 비과세 적용기간인 10년 이후 수익이 극대화되며, 납입기간중 해지시엔 원금 손실입는 경우도 많습니다.
가입하신 상품의 경과기간별 환급률 체크해보시길 당부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