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우람한두더지151
우람한두더지15122.01.06

드라이아이스는 왜 증발하는가?

드라이아이스의 생성 과정이 궁금합니다

얼음은 물로 만들어 지는데 드라이 아이스는 무엇으로 영하 몇 도까지 도달해야 그렇게 단단하게 고체로 만들어지는지 그리고 녹지않고 증발하는 이유를 알고 싶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안재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드라이아이스는 이산화탄소 기체를 고압 압축시키고 -80도에서 냉각시켜서 액체 상태로 만듭니다. 고압상태의 액체 이산화탄소를 일반압력으로 올려주면 급격하게 팽창하면서 일부 기화됩니다.

    기화된 일부 이산화탄소는 많은 열을 흡수하고 날라가고 남은 이산화탄소는 온도가 급격하게 떨어져 고체화가 됩니다. 이산화탄소의 어는 점은 -56도 입니다.


  • 안녕하세요. 남송현 박사입니다.

    드라이아이스는 고체형태의 이산화탄소입니다

    압력이 1 기압인 대기압일때

    드라이아이스는 -78.5 °C에서 기체로 승화되는

    특성을 가지고있습니다

    그래서 액체로 변하지않고 고체에서 바로 기체로

    변하는것입니다

    이런 현상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용도의

    냉매로 사용되고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

    드라이아이스는 고체 이산화 탄소입니다

    이산화탄소를 영하 80도 이하로 만들면 고체가 됩니다

    물론 가정에서 할수 없고 공장에서 할수 있어요

    증발을 하는것은 액체가 기체로 되는것인데 이산화 탄소는 고체가 직접 기체로 되는 것이라 승화라고 합니다

    이산화탄소가 물로 안변하고 직접 기체로 변합니다

    공기보다 무거워 승화시 기체가 아래로 내려갑니다


  • 안녕하세요. 배영광 과학전문가입니다.

    고체형태의 이산화탄소를 드라이아이스라고 하는데 드라이아이스는 압력이 1 기압일 때 -78.5 °C에서 기체로 승화되기 때문에 상온에 드라이아이스를 둔다면 이산화탄소가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복선정 약사입니다.

    드라이아이스는 고체 이산화탄소입니다. -78.5℃ 로 낮은 온도입니다.

    대기압(1기압)에서는 액체를 거치지 않고 고체에서 기체로 바로 승화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