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시장에서 개인 투자자들은 기관이나 외인과 반대 투자를 하는 이유가 뭔가요?
오늘 코스피가 상승장에 있는데 외인과 기관이 순 매수세를 보이면서 상승을 이끄는데 반해 개인 투자자들은 순매도를 하고 있다고 합니다. 지금까지 개인 투자자들 성향을 보면 대부분 외인이나 기관과 반대 양상을 보이는데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기관, 외인은 장기 수익률과 리스크관리 기준에 따라 매매합니다.
개인은 단기심리, 수익 실현 타이밍 위주로 대응해 반대 포지션이 자주형성됩니다.
결국 정보 접근 차이와 투자 목적의 차이가 방향성을 갈라놓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개인 투자자가 기관, 외국인과 반대 방향으로 투자하는 이유는 정보력과 투자 전략 차이 때문입니다. 기관과 외인은 풍부한 정보와 분석력으로 중장기적 관점에서 투자하는 반면, 개인은 단기적 주가 변동에 민감해 추격 매수나 차익 실현을 하는 경우가 많아 반대 매매가 발생합니다. 정보 비대칭과 심리적 요인도 원인입니다.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전문가입니다.
개인들은 시장에 영향을 받으면 각기 움직임이 다르고 대부분 일희일비하는 모습을 많이 보이기 때문에 투자기관,세력들이 이런 움직임을 역으로 이용하기가 더 쉽고 내부정보도 더욱 자세히 간파하고 있어서 미리움직임을 보이거나 보이지않고 역으로 물량을 확보하고 먼저 손을 빼는게 가능합니다.지분에 대한 변동을 잘 살펴보고 시장의 흐름과 상황을 면밀히 보면 기관이나 외인의 자금흐름을 어느정도 파악이 가능하다고 봅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기관이나 외인의 경우 단기로 들어옵니다. 가장 빠르게 매매하는 것이 외인, 그리고 다음이 기관, 마지막으로 개미투자자들입니다. 개미투자자들의 경우 포지션이 외인이나 기관과 다르게 스윙의 성격을 가진 사람들이 많아 투자가 반대방향으로 이어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포지션이 같다면 같은 버스를 타는 것과 같을텐데, 버스를 다르게 탄다 또는 다른 동선으로 움직인다고 보시는 것도 이해가 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투자 목적과 정보 접근성의 차이 때문인데요. 개인 투자자는 단기적인 주가 상승으로 인한 이익을 취하고자 하는 경향이 강한 반면, 외국인 투자자는 주로 주가를 보고 매도하거나 기업의 장기적인 가치나 글로벌 경기 흐름을 보고 투자하는 경우가 많아 투자 접근 방식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이죠.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개인 투자자들은 정보나 분석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투자를 제대로 못할 확률이 있습니다. 또한 장기간 물려있던 주식들이 상승을 조금만 해줘도 탈출을 해야된단 생각에 급하게 팔아치울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주식 시장에서 개인 투자자들이 기관이나 외인과 반대되는 투자를 하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무래도 기관이나 외국인들의 정보가 개인 투자자들의 정보와 다르기에
서로 다른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누군가는 사는 주체가 있다면 반대로 파는 주체가 존재합니다. 즉 최근의 상승장세에서 개인투자자들은 시장가로 가격을 하락시켜서 매도한게 아니며 정확히는 위에다가 어느정도 이익구간이나 차익실현 가격으로 위에다가 지정가 매도를 걸어놓은것입니다.
그런데 최근 외인이나 기관들이 강력하게 시장가로 매수수량이 들어오고 있고 이러한 영향으로 개인들이 물량이 파졌다라는 표현이 정확합니다. 즉 개인들은 몇년간 이어진 박스피시장과 현재 가파르게 오른 시장의 불안감으로 차익 실현을 위해서 매도물량을 걸어 놓은것이며 이런 물량이 파지면서 개인투자자들은 매도세의 수급으로 잡히고 있는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