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산부인과 이미지
산부인과건강상담
산부인과 이미지
산부인과건강상담
로맨틱한발발이142
로맨틱한발발이14223.09.01

여성 갱년기는 무엇이며, 어떤 주요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나요?

나이
42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여성 갱년기는 무엇이며, 어떤 주요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나요?

호르몬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신체적, 정신적, 그리고 감정적인 변화들에 대해서 알고 싶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지아 의사입니다.

    여성의 경우 40대 후반에서 50대 초반에 생리가 불규칙해지는 폐경 이행기와 마지막 생리가 있고 1년 후부터인 폐경기를 통틀어 갱년기라고 합니다.

    폐경을 맞으면서 난소의 기능이 떨어지고 배란 및 여성 호르몬의 생산이 감소하게 되어 각종 신체적, 정신적으로 급격한 변화가 생길 수 있습니다.

    별다른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지만, 심한 증세가 나타나는 경우도 있어 갱년기 증상은 개인차가 있으며, 가장 흔한 증상으로는 안면홍조와 발한이 있습니다. 또한 피로감, 불안감, 우울증, 기억력장애도 동반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은 폐경 1-2년 전부터 시작되어 폐경 후 3-5년간 지속되기도 하며, 이후 골밀도 감소로 인한 골다공증의 유병률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화끈거림, 갑작스러운 감정의 변화, 월경주기의 변화 등 다양합니다.

    체중변화 등도 일어납니다.

    가까운 산부인과 방문해서 상담하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갱년기에 대해 궁금하시군요. 폐경이 되기 전 과도기적인 시기를 갱년기라고 부르는데, 이 시기부터 호르몬의 변화로 인한 증상들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증상들로 화끈거림, 두근거림, 우울감, 성욕 감퇴, 피로감 등의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겠습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갱년기는 여성 호르몬의 이제 더 이상 나오지 않게 되면서 나타나는 여러 증상을 의미합니다. 호르몬이 나오지 않으면 얼굴이 화끈거리고, 식은땀이 나는 증상도 있구요. 전신 통증도 생기고 심리적인 우울감이 유발되기도 합니다. 참 많이 힘든 시기이나 2~3년 정도(폐경 이후) 지나면 저절로 좋아지는 경우도 많습니다. 미리 겁내 하지 마시고 모든 여성에서 경험하는 시기이니 마음 편히 가지시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갱년기에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은 불규칙한 생리입니다. 여성 호르몬의 결핍에 의한 증상도 나타납니다. 우리나라 여성 중 50% 정도는 안면 홍조, 빈맥, 발한과 같은 급성 여성 호르몬 결핍으로 인한 증상을 경험합니다. 20% 정도의 여성은 이러한 증상이 더 심하게 나타납니다. 안면 홍조와 함께 피로감, 불안감, 우울, 기억력 감퇴 등의 증상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주로 밤에 증상이 나타날 경우에는 수면 장애를 겪기도 합니다. 그리고 수개월 후에는 에스트로겐의 부족으로 인해 질에 있는 수분이 건조되면서 '질 건조' 또는 '질 위축증'이 나타납니다. 이러한 상태는 성교 시 통증을 유발하며, 감염으로 인한 심한 가려움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채홍석 의사입니다.

    난소의 기능이 떨어지면서 정상적인 생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입니다.

    2012년 강북 삼성건진센터를 방문한 44-56세의 여성들 중 2,204명을 대상으로 폐경기 설문조사를 한 결과 가장 빈번하게 겪는 폐경기 증상들은 ‘기억력이 떨어진다(82.2%)’, ‘자주 피곤하고 쉽게 지친다 (84.1%)’, ‘근력이 떨어진다(81.3%)’, ‘피부가 건조하다 (84.7%)’, ‘외모, 피부결 또는 피부의 탄력이 변한다 (82.6%)’이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 갱년기는 질병 또는 노화에 의해 난소기능이 감소하면서 폐경과 관련된 신체적 및 심리적 변화를 겪는

    • 시기를 말하며, 폐경 전기와 후기를 모두 포괄합니다. 40대에 접어들면서 월경이 불규칙해지는 시기가

    • 바로 갱년기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부 장애인 여성의 경우, 갱년기가 비장애인 여성에 비해

    • 더 빨리 올 수도 있습니다. 갱년기의 주요 원인은 여성의 난소기능 저하, 여성호르몬 감소가 주된 원인으로

    • 폐경 즈음 갱년기에 이르면 난소기능이 급격하게 저하되고,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분비가 감소됩니다.

    • 에스트로겐은 자궁과 유방 뿐만 아니라 뇌, 심장, 혈관, 뼈 등 전신에 걸쳐 우리 몸의 곳곳에 영향을 주며,

    • 에스트로겐이 감소되면 이런 다양한 장기에 영향을 주어 갱년기 증상이 유발됩니다.


  • 갱년기는 폐경이 될 쯔음 시기를 의미하며 갱년기에는 여성호르몬 수치의 감소에 의하여 여러가지 증상들이 발생하게 됩니다. 몇 가지 언급하자면 예민함, 불안함, 쉽게 짜증나는 등의 성격 변화가 나타날 수 있으며 신체적으로는 땀을 쉽게 흘리고 더위를 잘 타고 체중이 증가하는 등의 변화가 생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