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하는 사람들중에 잃는 사람이 많을까요 수익인사람들이 많을까요?
개미들이하고 하죠?!개인투자자들중 수익인사람들이 많을까요 아니면 마이너스 즉 잃는 사람들이 많을까요?어느쪽이 더 많은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주식하는 사람들 중에는 잃는 사람이 더 많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주위를 돌아보면 저 자신 부터 포함해서 수익을 낸 경우가 거의 없습니다.
물론 운이 좋거나 실력이 좋아서 한두번 큰 수익이 날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주식 투자 기간 토탈로 합치면 수익 보다는 잃는것이 더 많을수도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전문가입니다.
가볍게ㅜ생각해서 뉴스에 성공하는사람보다 실패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더 많이 다루지않나 싶습니다. 주식은 물량이 많은사람들이 운영하거나 이끌어가고 개개인은 타이밍에맞게 매수도햬야할뿐이지요.주주총회에 영향력도 없구요.공부하거나 경험이 많아도 살아남기.어려운 생태계입니다.실패없는성공도 없을가능성이 많으니 굳이 장기투자로가신다면 한국의.경제와 같은방향으로 나아가는 종목에 투자하심을 추천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개인투자자들의 예로 보았을 떄,
기간을 얼마나 설정하느냐에 따라서 다르겠지만
보통은 손실을 보는 분들이 훨씬 많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주식 시장에서 일반적으로 개인 투자자들(개미들) 중에서 잃는 사람들이 많은 경향이 있습니다. 여러 연구와 데이터에 따르면, 대다수의 개인 투자자들은 장기적으로 수익을 내기보다는 손실을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개인 투자자들은 종종 단기적인 시장 변동에 과도하게 반응하고, 감정에 따라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로 인해 높은 매매 빈도와 비합리적인 투자 전략이 수익성 저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둘째, 정보 접근성과 분석 능력의 차이로 인해, 기관 투자자들에 비해 개인 투자자들이 더 어려운 시장 환경에서 활동하게 됩니다. 기관 투자자들은 전문적인 연구, 데이터 분석, 그리고 전략적 접근을 통해 더 나은 투자 결정을 내릴 수 있는 반면, 개인 투자자들은 정보의 비대칭성으로 인해 불리한 위치에 있을 수 있습니다.
셋째, 시장의 복잡성과 변동성을 감안할 때, 개인 투자자들이 신뢰할 수 있는 투자 전략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손실을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결과적으로, 개인 투자자들 중에서는 손실을 보는 사람들이 상대적으로 많고, 수익을 내는 경우는 적은 편입니다. 이는 주식 투자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연구와 전략적 접근, 장기적인 시각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전문가입니다.
개인투자자의 수익률은 시장상황에 따라 달라지지만 일반적으로 경제뉴스에서 발표되는 개인투자자들의 성적표를 보면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했다는 뉴스가 압도적으로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증시에 투자하고 있는 사람을 기준으로 한다면 손해인 사람이 많을 것입니다.
그 이유는 우리나라 증시는 21년 3,300포인트를 찍고 20% 정도하락한 상황으로 최저점을
잡아서 투자를 하지 못했다면 전체적으로는 손해중인 상황일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개인투자자들 중 수익을 낸 사람과 아닌 사람들에 대한 통계는 없으나,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손해를 본 사람이 더 많고 기관이나 외인 투자자들이 수익을 더 많이 낼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보다 주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사람들의 수는 한정적인데, 그들이 대부분의 수익을 거둬가고 정보력이 부족한 일반 개미투자자들은 손해를 볼 가능성이 훨씬 높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잃는 사람이 더 많습니다. NH증권 자료에 의하면 올해 상반기 국내주식투자 수익률은 20대 -0.3%, 30대 -0.4%, 40대 -1.5%, 50대 -2.2%, 60대 이상 -1.1% 입니다. 19세미만 미성년자만 +1.0% 입니다. 전체 연령 평균은 -1.14%입니다. 사놓고 가만히 놔둔 미성년자 계좌만 수익이고 어른들은 다 마이너스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국장기준으로 보면 당연히 마이너스인 사람이 압도적으로 많습니다 단기투자건 장기투자건 이건 불변의 진리입니다
얼마전 한경 투자대회 상위 10프로가 본전이더라구요 그럼 90프로는 마이너스 입니다
코스피가 2000 을 처음 돌파했던게 17년전입니다 지금 2676 이네요 다우 나스닥 s&p500 10년 15년 전 지수가격을 보시면 왜 국장탈출이 지능순이라는건지 아실수 있습니다
요즘 주식시장이 너무 어렵습니다 부디 대응 잘하셔서 큰 수익 보시길 바랍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인간 심리적인 측면에서 봤을 때 10명이 있다면 이중 수익은 2~3명만 보고 나머지 7~8명은 손실을 볼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황태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 투자에 대해 고민하고 계시군요! 흔히 "개미"라고 부르는 개인 투자자들이 주식 시장에서 얼마나 수익을 내는지, 아니면 손실을 보는지에 대한 궁금증은 누구나 한 번쯤 가져볼 만한 주제입니다. 실제로 주식 시장에서 개인 투자자들이 수익을 내는지, 아니면 손실을 보는지에 대한 통계와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생각보다 흥미로운 점들이 많습니다.
먼저, 개인 투자자들 중 손실을 보는 사람이 더 많다는 게 일반적인 통계입니다. 여러 연구와 데이터에 따르면, 개별 투자자들이 주식 시장에서 수익을 내기보다는 손실을 보는 경우가 더 많다고 해요. 그 이유는 몇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째, 감정적인 투자와 단기적 매매의 문제입니다. 많은 개인 투자자들이 주식 시장에서 감정적으로 대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주가가 급등하면 "더 오를 것 같아"라며 늦게 진입하거나, 주가가 급락하면 "더 떨어질까 봐" 두려워서 급하게 매도하는 경우가 많죠. 이런 감정적 투자는 장기적인 수익을 내기 어렵게 만들고, 오히려 손실을 입을 가능성이 커집니다.
둘째, 정보의 비대칭성과 분석 부족입니다. 기관 투자자들은 대규모 자금과 정보력, 전문적인 분석 팀을 갖추고 있죠. 반면, 개인 투자자들은 정보의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고, 때로는 시장의 복잡한 변수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채 투자 결정을 내리게 됩니다. 특히, 소문이나 단기적인 뉴스에 휘둘리는 투자를 하게 되면 장기적으로 불리할 수밖에 없어요.
셋째, 거래 비용과 세금도 고려해야 합니다. 잦은 매매를 할 경우, 수수료와 세금이 누적되어 투자 수익을 갉아먹게 됩니다. 이런 점에서 장기 투자보다는 단기적인 매매로 인한 손실이 더 커질 수 있어요.
넷째, 시장의 변동성과 리스크입니다. 주식 시장은 기본적으로 변동성이 큰 시장입니다. 주가가 오를 때는 큰 수익을 낼 수 있지만, 반대로 하락할 때는 큰 손실을 볼 수 있죠. 특히, 초보 투자자일수록 리스크 관리에 서투를 수 있고, 이로 인해 큰 손실을 볼 수 있는 확률이 높습니다.
하지만, 모든 개인 투자자들이 손실을 보는 건 아니에요. 장기적인 안목과 계획을 가지고 투자하는 개인 투자자들은 수익을 낼 가능성이 높습니다. 분산 투자, 리스크 관리, 감정에 휘둘리지 않는 투자 전략을 가지고 있는 투자자들은 시장에서 장기적으로 수익을 내는 경우가 많죠.
결론적으로, 통계적으로는 개인 투자자들 중 손실을 보는 사람이 더 많은 것이 사실이지만, 올바른 투자 전략과 꾸준한 학습을 통해 성공하는 투자자가 될 수도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단기적인 수익보다는 장기적인 시각으로 접근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는 점을 기억하시면 좋겠습니다.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 투자에서 잃는 사람과 수익을 내는 사람의 비율은 일반적으로 잃는 사람이 더 많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많은 연구와 통계에 따르면, 개인 투자자들은 시장의 변동성과 감정적 결정으로 인해 손실을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주식하는 사람들 중에서 잃는 사람과 수익인 사람 중에서 누가 더 많을까에 ㄷ해ㅏㄴ 내용입니다.
일반적으로 0.1퍼센트 정도만 안정적인 고정 수익을 얻고
대부분은 잃게 된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