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중세시대는 왜 암흑시대라고 불리나요?

흔히 중세시대라고 하면 기독교의 강력한 권력과 기사와 같은 소재들이 떠오릅니다. 그런데 이러한 중세시대를 암흑시대라고도 부르던데 왜 그런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

    중세(5세기~15세기)를 "암흑시대"라고 부르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로마 제국 붕괴 이후의 혼란

    5세기경 서유럽의 서로마 제국이 멸망(476년)하면서 사회가 극심한 혼란에 빠졌습니다. 중앙집권적 행정체계가 무너지고, 봉건제도가 등장하며 작은 영주들이 각각의 땅을 다스리게 되었습니다. 무역과 경제가 쇠퇴하고 도시가 붕괴, 사람들은 작은 농촌 공동체에서 자급자족하며 살게 되었습니다.

    2. 학문과 문화의 쇠퇴

    고대 로마와 그리스 시대의 철학, 과학, 문학, 예술 등이 크게 위축되었습니다. 교육이 사라지고 문맹률이 급증했으며, 지식의 전수가 어려워졌습니다. 학문은 주로 교회(수도원)에서만 보존되었고, 종교적 교리에 의해 통제되었습니다.

    3. 종교의 절대적 지배

    기독교가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면서, 교회가 정치·사회·문화 전반을 장악했습니다. 과학적 사고보다는 신앙과 미신이 우선시되었으며, 교회에 반하는 학문이나 사상은 탄압을 받았습니다.또한 이단 심문, 마녀사냥 등으로 사상과 표현의 자유가 제한되었습니다.

    4. 전쟁과 질병, 낮은 삶의 질

    봉건제 사회에서 영주들 간의 끊임없는 전쟁(십자군 전쟁, 백년전쟁 등)이 발생했습니다. 14세기 흑사병으로 유럽 인구의 1/3~1/2이 사망하는 등 대규모 전염병이 창궐했습니다. 농업이 주된 산업이었으나, 기술 발전이 더뎌 기근과 가난이 지속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