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세종은 우리나라 최초의 공중시계를 설치하였는데 어디에 설치하였고 특징이 무엇이고 발명의 어떠한 의의가 있으며 백성들은 어떻게 활용하였나요
안녕하세요 조선의 세종은 우리나라 최초의 공중시계를 설치하였는데 어디에 설치하였고 특징이 무엇이고 발명의 어떠한 의의가 있으며 백성들은 어떻게 활용하였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세종은 1434년(세종 16년)에 우리나라 최초의 공중시계를 설치하였습니다. 이 시계는 앙부일구라고 불리며, 종로의 혜정교(현 광화문 우체국 부근)와 종묘 앞에 설치되었습니다. 앙부일구는 가마솥 모양의 몸체에 태양의 그림자가 드리워지는 원리를 이용한 시계입니다. 몸체의 동쪽에는 12지시가 표시되어 있고, 몸체의 남쪽에는 24절기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태양의 그림자가 12지시의 눈금에 닿으면 시각을 알 수 있고, 24절기의 눈금에 닿으면 절기를 알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자격루는 조선 세종16년(1434)에 장영실 등이 제작한 물시계입니다. 이전에 사용되던 누기라는 물시계는 사람이 항상 옆에서 지키며 잣대를 눈금으로 읽어 시간을 알려주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오차와 실수가 많았습니다. 하지만 자격루는 물의 증감을 통해 일정량이 모이면 쇠구슬을 굴려 정해진 시간에 종과 북, 징이 저절로 울리도록 하는 방식으로 보다 정확하고 자동적으로 시간을 알려줄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자격루의 작동 원리는 당시로서는 상당히 혁신적인 것이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세종의 애민정신에 의해 발명된 것이 기존의 해시계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정확한 해시계 양부일구입니다. 백성들이 간편하게 시각을 알 수 있도록 시계를 만들어라는 지시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 양부일구입니다. 양부일구는 해의 이동과 그림자를 이용해 시각을 알 수 있는 해시계입니다. 하늘을 바라보는 솥이라는 양부와 해시계를 뜻하는 일구가 합쳐진 말로 솥의 형태와 비슷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시계는 물론 달력 역할까지 하였습니다. 세종은 양부일구를 종묘 남쪽의 거리와 종로 혜정교에 설치해 지나다니는 백성들이 볼 수 있게 했는데 양부일구는 오늘날의 시계탑과 같은 우리나라 최초의 공중시계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