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24.02.14

자산이라는것을 자본화한다는 개념이 무슨말인가요?

회계나 경제쪽 용어나 공부를 하면 실물이나 특정자산을 자본화해야한다거나 자본화시킬수 없는 자산이다라는 말이 있는데요

구체적으로 이 개념이 무슨 말인지 이해가 안되어 질문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융자산이나 생물자산 그리고 단기성 재고자산은 차입원가를 자본화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금융, 생물자산은 최초인식시 원가측정이 아니라 공정가치측정이기 때문에 자본화의 효용이 떨어지고 판매목적의 단기 재고자산은 당기에 취득, 제조하여 당기에 곧바로 팔아버리면 이 역시 자본화의 의미가 없다고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자본화'는 기업이 보유한 자산으로부터 발생하는 미래 경제적 이익을 현재 가치로 환산하여 자산의 가치를 높이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기업이 새로운 공장을 건설할 때 대출을 받아 건설비용을 충당한 경우, 대출 이자는 공장을 운영하면서 발생하는 수익으로 상환할 수 있으므로 이를 공장의 가치에 반영하는 것이 자본화입니다.

    이때, 자본화할 수 있는 자산은 '적격자산'이라고 불리며, 의도된 용도로 사용하거나 판매 가능한 상태에 이르기까지 상당한 기간을 필요로 하는 자산으로 정의됩니다. 대표적인 적격자산으로는 재고자산, 제조설비자산, 전력생산설비, 무형자산, 투자부동산 등이 있습니다.

    반면, 자본화할 수 없는 자산은 '비적격자산'이라고 불리며, 취득 시점에 이미 의도된 용도로 사용할 수 있거나 판매 가능한 상태에 있는 자산을 말합니다. 대표적인 비적격자산으로는 금융자산, 단기 재고자산 등이 있습니다.

    회계나 경제 분야에서 자본화는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 기업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를 평가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기업들은 자본화 대상 자산을 선정하고 적절한 회계처리를 수행하는 데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자산이라는 것이 자본화한다는 말은 자본이라는 것이 '자산-부채'를 통해서 구해지게 되다 보니 부채의 경우에는 자본화시킬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자본화란 주식이나 채권 따위에서 정기적으로 들어오는 배당이나 이자, 지대(地代) 등으로 들어오는 예상 수익을 시장 이자율로 나누어 의제 자본을 산출하는 절차를 의미하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자본화는 자산의 가치를 돈으로 계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회사가 건물을 소유하고 있다면 그 건물의 가치를 돈으로 계산하여 자산으로 기록합니다. 하지만, 자본화 할 수 없는 자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회사의 브랜드 가치는 돈으로 계산하기 어렵기 때문에 자본화 할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자산을 자본화 한다는 것은 자산의 구입이나 건설과 관련된 비용을 자산의 원가로 인식하고, 감가상각을 통해 비용으로 전환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유형자산을 만들기 위해 차입한 금액에 대한 이자비용을 자산의 원가에 포함시키는 것을 차입원가 자본화라고 합니다. 이렇게 하면, 자산의 가치를 적정하게 반영하고, 이자비용의 부담을 분산시킬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자본화란 비용으로 회계 처리하지 않고 자산의 증가 처리하였음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자본화는 취득 원가 및 생산 원가를 비용이 아니라, 고정 자산, 여러 회계 기간에 걸친 감가상각을 통해 상각으로 기록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자본화란 용어의 개념은 다음과 같습니다.

    자산의 자본화란 자산의 취득 등을 위해서 들어간 모든 비용을 취득원가로 삼는 것입니다.

    즉, 한 건물을 매수하면서 들어가는 건물의 값 외에도

    각종 세금 및 수수료가 자본화되어서 들어가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자산을 자본화한다는 개념은 일반적으로 자산을 현금화하거나 이익을 창출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