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사기에 비류와 온조의 혈통에 대해 명확하게 언급된 부분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삼국사기에 비류와 온조의 혈통에 대해 명확하게 언급된 부분이 있나요 ? 비류와 온조에 대한 기록은 역사적 사실일까요 아니면 설화에 가까울까요?
<삼국사기> 백제 본기 온조왕 즉위조에 비류와 온조의 혈통에 대해 언급하고 있습니다. 동명성왕이 졸본에 정착하여 존본부여 왕의 둘째 딸과 결혼하고, 두 아들이 태어났는데 형은 비류, 동생은 온조로 이름 지어졌다고 합니다.
그러나 <삼국사기> 백제 본기 온조왕 즉위조 분주에는 시조 비류왕은 그 아버지가 우태로 북부여 왕 해부루의 서손이고, 어머니는 소서로로 졸본 사람 연타발의 딸이라 하였습니다. 우태는 시집 가서 아들 둘을 넣았는데, 맏이는 비류이고, 둘째로 온조라 하였습니다. 우태가 죽자 졸본에서 과부로 지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삼국사기에서도 비류와 온조는 주몽의 아들, 또는 우태의 아들로 두 가지 설이 공존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
'삼국사기' 백제 본기에 따르면
고구려 시조인 주몽이 북부여에서 졸본부여로 와서 졸본부여왕의 딸과 혼인하고 비류와 온조라는 두 아들을 얻었는데, 주몽이 북부여에 있을 때 얻은 아들 유리가 와서 태자가 되자 비류와 온조는 무리를 이끌고 남하하게 됩니다.
그러나 정착할 장소를 결정할 때 비류와 온조의 주장이 엇갈려 비류는 미추홀에 머물렀고,
온조는 위례성에 도읍을 정하여 국호를 '십제'라 하였는데, 이때가 기원전 18년이었습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미추홀의 지리적인 문제들로 인해 어려움을 겪은 비류 집단이 비류가 사망한 후 온조에게 귀부하게 되는데요.
후에 국호를 백제로 고치고, 고구려와 함께 부여에서 나왔으므로 왕실의 성씨를 부여씨라고 하였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삼국사기에 비류와 온조의 혈통에 대해 명확하게 나와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온조의 백제 건국설화는 다른 나라와 달리 온조의 혈통에서 신성성을 강조하지도 않고, 온조의 신이한 능력을 보여주지도 않는다는 점이 독특합니다.
백제의 건국설화에는 또다른 특이한 점이 있는데요. 바로 백제에는 온조 외에 비류를 주인공으로 하는 건국 설화가 별도로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온조 집단과 비류 집단이 공존하면서
백제를 건국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