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이 반도체 관련 수입품에 대한 100% 관세부과방안을 이야기 했습니다. 관련 산업에 어떤 영향이 있을까요?
미국의 고율 관세 위협이 우리나라 반도체 기업에 미칠 수 있는 구조적 위협은 무엇인가요? 기술주 불확실성을 완화하기 위한 투자자의 대응 전략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 외 생산 반도체에 100퍼센트 관세를 예고했고 미국 내 생산이나 투자 약속 기업은 일부 예외로 거론됐습니다. 시행 범위와 기준은 아직 모호해 시장 혼선이 커졌습니다. 관세가 현실화되면 완성품 가격 상승과 공급망 재배치가 불가피합니다. 우리나라 기업에는 미국 내 생산 비중이 낮은 라인에 부담이 늘고 역외 우회 조달도 차단될 위험이 큽니다. 규정 불확실성과 보복 관세 리스크도 구조적 위협입니다. 투자자는 미국 내 생산 능력 보유 기업과 소재 장비 내수 수혜주 비중을 높이고 달러 기준 현금 비중을 키워 변동성에 대비할 필요가 있습니다. 장기 공급 계약 확대와 고객 다변화가 기술주 불확실성 완화에 유효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반도체 관세 부과에 대한 부분이 이슈가 되는 가운데 아직 정확한 부과시기는 정해지지 않았고, 우리나라 삼성전자 등에 대한 관세 부과 면제에 대한부분도 정확한 사항의 확인이 필요합니다.
일단 우리나라에 대한 반도체 부과 관세율을 정확히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다른 국가들에 비해 낮은 관세율적용을 받는다면 그만큼 가격경쟁력에 대한 확보가 될 것입니다.
다만 반도체는 일단 기술력이나 사이클, 공급/수요에 대한 부분이 더 중요한 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8월 6–7일(한국시간 7–8일) 트럼프 대통령이 해외 생산 반도체 수입에 ‘약 100% 관세’를 예고하되, 미국 내에서 생산 중이거나 생산을 약속한 기업은 예외로 두겠다고 밝히면서(세부 품목·발효 시점은 미확정) 글로벌 공급망이 ‘미국 현지화 vs. 역외 생산’으로 갈라지기 시작했습니다.
단기적으로는 미국 내 IT·자동차·산업용 전자 가격상승 압력과 조달 혼선이 불가피합니다. 관세 예외(미국 내 생산 약속)에 해당하지 않는 역외 칩은 가격이 두 배 가까이 뛰며, 완제품 업체는 대체 소싱 또는 원가 전가가 나타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현재 이에 대한 명확한 공식입장은 나온바가 없으나 일단 대체적으로 미국내 공장을 건설하거나 소유한 기업들은 관세가 면제될듯 합니다. 따라서 tsmc나 우리나라 기업들은 상대적으로 이에 대한 타격을 적게 받을 것으로 예상되며 사실상 일부 비협조적인 기업에 대하여 징벌적 관세를 부과하는 것이라고 판단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