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용어

한가한몽이씨
한가한몽이씨

주식 초보인데 roe가 뭐인가요?

주식초보라 재무재표를 보니 roe란 말이있는데 추상적인 설명말고 이해가게 설명궁금합니다

그냥 나와있는 설명은 너무 의미 해석적이라 어려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ROE는 자기자본이익율이락는 것입니다.

    투입된 자기자본으로 얼마만큼의 이익을 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예를 들어서 질문자님이 2021년에 100만원의 자기돈을 투자하여 50만원의

    이익을 거두셨다면 ROE가 50%인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보통 ROE가 15~20% 정도의 회사라고 해도 정말 사업을 잘하는 회사라고 볼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ROE(Return On Equity, 자기자본 이익률)을 알기 위해서는 먼저 자기자본과 당기순이익의 개념을 알아야합니다.

    자기자본이란?

    자본금이란 회사를 세우는데 들어간 돈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5000원당 주식 1장을 나누어주고 투자금을 모았다고 합시다. 이때 모은 돈이 50만원이고, 이 돈으로 회사를 차렸다면 자본금은 50만원이 됩니다.

    그런데 만약 회사를 세우는데 주식을 발행해서 모은 돈 50만원과 은행 대출금 50만원이 들어갔다면 자본금은 얼마가 될까요?

    은행 대출금은 100억이 되었든 1000억이 되었든 중요하지 않습니다. 자본금은 오로지 주식을 발행해서 모은 돈을 말합니다. 은행 대출금이 100조든, 1000조든 회사의 자본금은 50만원이 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자기자본이란 무엇일까요? 자기자본이란 '자본금 + 그동안 장사를 해서 본 돈'입니다. 예를 들어 회사를 세우는데 들어간 돈이 70원이고, 그동안 장사를 해서 번돈이 30원이라면 자기자본은 총 100원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ROE는 자기자본이익율을 뜻합니다.

    즉 자기자본에 대비해 얼마나 이익을 냈는지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자기자본이익율 = 당기순이익/자기자본 *100

    여기서 한회사의 자기자본이 100원이라고 가정하고 당기순이익이 10원이면 ROE는 10이되는것이구요

    당기순이익이 30원이면 ROE는 30이되는 것 이구요.

    따라서 ROE가 30인 기업이 자기자본에 비해 기업이 효율적으로 운영을 잘한것이겠죠.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roe는 자기자본이익률이라고 합니다. 이는 당기순이익에 자기자본을 나눈값으로 보통은 얼마정도의 이익이 발생하고 있는지를 지표로 나타낸것입니다.이 지표는 보통 같은 직종를 비교할때 사용되어집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ROE는 Return on Equity의 줄임말로 자본이익률입니다. 기업의 자본대비 이익이 얼만큼 발생하는지를 나타내는수치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양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ROE는 부채를 포함하지 않고 계산한 지수이고

    ROA는 부채를 포함해서 계산한 지수입니다.

    쉽게 말해서 자기자본의 운영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루어졌는지 반영하는 지표로 자기자본에 대한 기간이익의 비율로 나타냅니다.

    주식시장에서는 자기자본이익률이 주가에 반영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투자지표로 자주 사용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