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밝은큰고니27
밝은큰고니27

소득 계층 상위 10퍼센트는 어떻게 정하나요?

정부가 소비 쿠폰을 소득 계층별로 지급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소득 계층 상위 10퍼센트는 어떻게 정하나요? 그리고 그 자녀나 배우자도 소득 계층 상위 10퍼센트에 포함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소득계층상위는 가구단위로 나누게 됩니다

    • 자녀와 배우자가 있는 가구라면 3인가구 기준으로 해당 가구의 소득을 잡게 될 것입니다

    • 다만 상위 10%는 드물기 때문에 대부분 아마 25만원을 수령하게 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건강보험료 납부기준으로 따집니다.

    소득 상위 10%의 경우 1억 3천만원 이상의 연봉을 받아야 건강보험료 납부10%안에 듭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소득 계층 상위 10%는 '건강보험료'를 기준으로 정하는 걸로 어느 정도 가닥이 잡힌 것으로 보이며, 그 자녀나 배우자의 경우 배우자는 건보료를 어느 정도 내느냐?에 따라 달라질 것이고, 자녀의 경우는 25만 원 지급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소득 계층 상위 10%를 정하는 것은 정부의 통계를 바탕으로 정하며, 가구를 기준으로 정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가구의 가구원 전체의 소득을 통해 소득순위를 차등하여 이를 기준으로 상위 1 ~ 100% 까지 정한다음 이에대한 10% 수치를 정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는 1인마다 기준으로 하는 것이 아닌, 가구 전체의 소득을 기준으로 한다는 점에서 조금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기준으로 본다면, 이는 급여인 근로소득 분 아니라, 각종 소득이 모두 포함되어 이에 대한 소득을 내게 된다는 점도 하나의 특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군등화 처분가능소득(세후)을 기준으로 전국 전 가구를 소득 순으로 정렬한 후 상위 10%에 해당하는 가구를 상위 10% 가구로 선정합니다.

    이때 가구에 포함되는 가족 모두의 소득을 기준으로 합니다.

    여기서 균등화처분가능소득이란 가구원 수에 따라 평준화한 1인당 가처분 소득을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전문가입니다.

    민생쿠폰 지급 시에 소득 상위 10%를 산정함에 있어서는 건강보험료와 재산 기준 등을 활용하였습니다.

    상위 10%에 해당하는 인구는 약 512만 명이며, 직장가입자 기준으로 월 보험료가 40만 원을 초과하거나 자산 기준으로 과세표준 9억원 이상 혹은 시세 20억 원 이상 주택 보유자가 이에 해당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자녀 혹은 배우자 역시 소득 계층 상위 10%에 포함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기준에서 소득 상위 10퍼센트는 건강보험료를 기준으로 할 것으로 보입니다.

    구체적인 기준은 시행안이 확정된 후에 판단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소득 계층 상위 10퍼센트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이런 소득 계층은 각자 소득 신고를 하게 되는데

    그 소득 신고를 기반으로

    누가 더 많이 냈는지 결정하게 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소득분위 통계에 따르면 '상위 10%'는 총소득으로 월당 약 1,300만 원 정도 수준의 가구인데요. 건강보험료를 기준으로 산정합니다.

    그리고 가구로 판단하기 때문에 가족구성원 모두에게 적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