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용어

알티스
알티스

우리나라에서 중산층의 기준은 뭘까요?

50이 되면서 참 여러가지 생각이 듭니다. 지금 나의 위치는 어디쯤인가. 재산이 얼마나 있어야 평균일까? 그래서 나는 평균에 있는가? 대체 우리나라 중산층의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전문가입니다.

    중산층의 개념 자체가 시대와 사회, 경제상황에 따라 변화하고 일반국민들이 생각하는 중산층의 개념도 모두 다르기 때문에 명확히 정의하기가 어렵습니다. 개인적으로는 현재 순자산 10억 이상을 보유하고 있으면 중산층이라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중산층에 대한 기준을 명확하게 정의하진 않고 있으나, 보편적으로 OECD 가입국에서는 중위소득 75~200%를 중산층이고 표현합니다.

    2024년 기준중위소득(월별 소득)은 1인 2,228,445원인데 여기서 75%는 1,671,334원에서 200%인 4,456,890원 사이에 있는 사람을 중산층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중산층은 약 10억정도의 자산이 있다고 합니다

    중산층의 범위도 대략 중위 40~60프로를 보고 있기 때문에 전후의 격차가 있겠지만,

    어자피 소득격차 자산격차가 매우 높기 때문에 어느정도 수준만 되고 중산층이다 할수 있죠

    다만 선진국은 중산층의 기준에 재산은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OECD에서는 중산층의 기준은 중위소득의 75 ~ 200% 라고 보나

    한국형 중산층은 4인가구 기준 월소득 686만원 이상, 월 427만원 이상 소비, 순자산 9.4억원, 부동산 8.4억원이라는

    통계가 있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그래도 중산층이라하면 먹고사는데 지장은 없어야 하는거니 제 생각엔 10-30억 사이는 정도는 자산으로 있어야 중산층은 되는거가 아닐까 싶네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한국에서의 중산층의 기준에 대한 내용입니다.

    한국에서의 중산층의 기준은 중위소득 기준으로

    하위 75퍼센트에서 상위 200퍼센트까지로 이 사이에 속한 이들을

    중산층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이는 대략 356만원에서 950만원 사이의 월소득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에서는 중산층을 평균 소득의 60~200% 범위로 정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한국의 중위소득이 약 4000만원이라고 가정하면, 중산층은 약 2400만원에서 8000만원 사이의 소득을 가진 가구로 정의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중산층은 단순히 소득 수준뿐만 아니라 교육 수준, 주거 환경, 생활 수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되기도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중산층은 자산과 소득만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지위 및 생활수준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자산은 적지만 소득이 500 이상인 집이 중산층에 해당할 수 있지만, 단일 기준으로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

    통계적으로는 개인은 월소득이 125만원에서 375만원 사이면 중산층입니다. 4인가족 기준으로는 가족의 월소득을 모두 합쳐서 250만원에서 750만원 사이면 중산층입니다.

  • 안녕하세요.

    우리나라 중산층의 기준은 참여기관이나 설문조사 대상에 따라 다르겠지만

    저도 궁금하여 여러 기사를 찾아보다 가장 흥미로운 내용이 있어 하나 공유 드립니다.

    월 700만원 넘는 고소득 가구의 76%는 난 중산층이야 라고 생각하고 있고 12%는 하층이라고 생각한다고 합니다.

    월 700만원이면 우리나라 가구기준 상위 10% 정도이긴 한데 본인들은 중산층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비중이 생각보다 많이 있네요.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중산층의 기준은 지역마다 다르겠지만, 평균적으로 부동산과 동산을 합쳐 10억 정도 잇으면 중산층으로 생각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0억으로 집한채와 약간의 동산을 가지고 있으면 중산층으로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중산층은 보통 중간 정도의 소득을 가진 사람들을 말합니다. 중산층의 기준은 가구 소득이 전체 가구 소득의 중간값 근처에 있는 경우입니다. 재산으로는 주택 소유 여부나 저축액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평균적인 소득과 생활 수준을 가지고 있으면 중산층으로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현석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의 중산층 기준은 소득과 자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보통 중산층은 가계 소득이 전체 가계 소득의 중위값 주변에 있는 사람들로 정의됩니다. 2024년 기준으로, 중산층은 연소득 약 5천만 원에서 1억 원 사이로 보고됩니다. 자산 기준으로는 가계 자산이 2억 원에서 10억 원 사이일 수 있습니다. 개인의 재산이 이 범위에 있는지, 그리고 다른 재정적 요소와 비교하여 평균에 맞는지는 각자의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