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가 하는건 다른걸 하다가도 멈추고 그 걸 따라해요. 어쩌다 한번이 아니라 아주 자주 그래요.
시소를 타다가도 친구가 그네타면 나도 그네탈꺼야라며 가고 친구가 미끄럼틀타고 그쪽으로 가고 그러네요.어린이집에서도 그런다고 하시고 ...
친구가 하는건 자기도 해봐야하는건지
단순히 친구가 좋아서 따라하는건지
자기가 원하는 놀이를 하도록 하려면 어떻게 교육해야한지 모르겠어요.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린이들은 혼자 놀면 괜히 소외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아서 친구가 하는 놀이에 동참해야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느끼니 놀도록 지켜 보시면 좋을듯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이럴땐 우선 아이와 이야기를 해보시는것이 좋으며
이러한 행동이 친구가 좋아서 따라하는것일수도 있습니다
이떄 아이는 모방하여 학습이나 놀이하는경우가 많기에 너무 걱정하지 않아도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는 혼자 놀이를 할 줄 모르고 친구와 사귐 방법을 잘 몰라서 친구의 행동을 따라하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이에게 혼자 놀이를 하는 방법과 친구를 사귀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주시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가정에서 또래 유아와 함께 놀 수 있는 기회가 있다면 부모님꼐서 자녀의 놀이행동이나 놀이 제안하는 방법 다른 친구의 놀이에 합류하는 방법을 관찰해주시고 자연스럽게 사회적 기술을 지도해주시면 더욱 도움이 되겠습니다.
친구만 따라다니거나 친구의 행동만 따라한다면 자녀가 놀이 아이디어를 친구에게 말해보도록 간접적 지도를 해주시는 방법인데요 친구가 의사구나 00아 엄마랑 의사선생님께 치료해달라고 말해볼까? 선생님 우리 00이 치료해주세요 , 00이는 이번에 간호사가 되어볼까? 라고 이야기하며 아이가 놀이에서 자신의 역할을 선택하여 주도적으로 놀 수 있도록 도와주시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이시기 아이들은 따라하는 경향이 있는 것은 당연한 성장
발달 과정 중 하나이기 때문에 너무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아이의 기질을 존중하시되 아이들 눈높이로 설명해주시는 것을 권합니다.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주체성이없는아이
1.친구를무작정따라함
2.집에서는 부모나형제들의결정에따라가며
자신의의견을 내진않음
자신의주체성을가지게훈련하면좋겠네요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어렸을 때에는 친구들을 모방하는 경우가 많아요
하지만 점차 커가면서 자신의 주관도 생기고 그래서
너무 지금부터 신경쓰지 마세요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친구가 하는것이 좋아보여서 그럴수 있고 더 친해지고 싶어해서 따라하는 경우도 있어요. 아이가 주도적으로 할수 있는것부터 해주는게 좋아요. 아이들은 그냥 좀 심심하면 무언가 그리거나 만들고 또는 물건에 상상력을 더해 가상놀이를 자주 하게 됩니다. 어떤 사물, 상황, 사건 등에 실제와 다른 가상의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여 노는 것으로 아이의 창의력을 발휘할 수 있고 미술활동을 할 때도 다양한 재료를 제공해주고 아이가 뭔가 만들거나 그려보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재활용 분리수거함에 있는 것들 중에 멋진 작품이 될 수 있는 재료들이 많이 있으니 재활용품을 활용한 작품을 함께 만들어 보는것도 좋아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친구를 좋아해서 그런 게 아닐까 싶습니다
집에서는 하루 종일 엄마랑만 지내다 어린이집에 가니, 친구란 존재를 알게 되서, 아이딴에는 같이 놀고 싶은 마음이 커서 그럴 수 있으니, 걱정하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친구를 모방하기 위하여 그런 것입니다.
아이가 크면서 해결될 문제이니 너무 염려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연령이 어떻게 될까요?
이 시기 때 아이들은 모방 심리가 있어서 친구가 하는 것을 잘 따라 하기도 합니다
집에서만 지내다가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을 가게 되면, 또래들에게 관심이 생겨서 친구의 행동을 따라하는 건 자연스런 발달과정입니다
점차 다른 영역이나, 활동에 관심을 갖게되면 이런 현상은 자연스럽게 없어지니 너무 염려마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