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5.22

소금사막이나 소금산은 어떻게 만들어지는 건가요?

소금사막이나 소금산은 어떻게 만들어지는 건가요?

바다가 아닌 평지에 소금이 나거나 소금산이 있는데 이런 것들은 어떻게 만들어지는 건가요?

또 바닷물도 아닌데 산속의 물이 바닷물처럼 염도가 높은 경우도 있는데 왜 이런 현상이 생기는 것인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양털아빠
    양털아빠22.05.23

    안녕하세요.

    과학을 좋아하는

    양털아빠입니다. :)

    소금사막, 소금산의 생성과정을 이해하려면 먼저 지각이동과 물의 순환과정을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첫번째로 소금사막이라 함은 물의 순환과정의 일환으로 생각 하시면 됩니다.

    지구의 물에는 100이라는 물과 여러가지 미네랄(물에 녹아있는 또는 부유하고있는 미세한 금속, 여러 이물질 등)이 있습니다.

    이때 태양에너지로 인하여 순수 H2O(순수한물)만 증발하게 되고 증발된 H2O은 비가되어 땅, 바다 등 여러곳으로 지구의 자전으로 인한 바람으로 이동하다 어떠한 충격(높은 산을 만나거나 여러가지 이유의 충격들)으로 인해 비로 뿌려지게 됩니다.

    그런데 이때,

    어느 A라는 바다에 비가 아주 오래동안 내리지 않고 순수한 물 H2O만 증발하게 되어 버리면, 물은 사라지고 바닷물의 큰 비중을 가지는 NaCl 즉 소금 및 미량의 다른물질들만 남게 됩니다.

    물이 모두 증발해서 결정화가 된다는 것이지요.

    둘째로 소금산은 지각변동의 일환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지구의 땅은 단단해 보이지만 일종의 단단한 액체라고도 생각하셔도 무방합니다.

    지구의 자전으로 인하여 지구의 땅속 제일 중간에는 마그마와 여러가지 물질들이 회전을 하게 됩니다.

    이때 회전의 방향으로 지구의 땅이 움직이게 되는데, 움직일때 발생하는 것이 지진 혹은 화산 폭발등이 땅이 움직인다는 것을 증명해 줌니다.

    이것을 기준으로 아주 오래전에 지구의 대부분은 바다였습니다. 그럼 현재의 산이나 땅등은 대부분 바닷속에 있었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여러해를 거쳐 지각변동으로 인하여 바다였던 곳이 산이 되어 솟아나 바닷속에 녹아져있던 NaCl 즉 소금이 그 땅, 산등에 남아 있게 되고 그로인해 소금산이 생성되는 것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질문채택 부탁드립니다.♥

    오늘 하루도 좋은 하루 보내세용 :)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다가 아니었어도 지각변동에 의해 해양지각이 융기하여 산을 이루었을 경우에
    염분을 다량 함유할 수 있습니다. 그 예로 에베레스트의 소금이 있죠
    감사합니다.


  • 아주 오랜기간의 시간에 의한 환경변화로 가능합니다.

    지각 변동으로 올라온 바다가 빙하기를 거친 후 녹기 시작하면서 호수가 만들어지고,

    이 호수의 물(바닷물)이 모두 증발하면 소금만 남게 됩니다.

    이 소금 덩어리가 결국 소금사막이나 소금 산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