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산균은 섭취하더라도 왜 장까지 살아가기 어렵나요?
요구르트 등으로 유산균을 섭취하더라도 장까지 살아가기가 어려워서 유산균에 캡슐을 씌우는 방식으로 섭취하도록 하는 제품은 이미 오래전부터 나왔잖아요? 그런데 왜 유산균이 애초에 다른 영양분처럼 장까지 살아가기 어려운 것인가요? 이야기를 들어보면 수천억개를 섭취하더라도 거의 못 살아간다던데 이유를 알려주세요.
유산균이 장까지 살아가기 어려운 이유는 위산과 담즙 때문입니다. 우리가 섭취한 유산균은 먼저 위를 통과해야 하는데, 위에는 강한 염산이 있어 상당수의 유산균이 사멸합니다. 그 다음 남은 유산균은 십이지장에서 만나는 담즙의 공격을 견뎌내야 합니다. 담즙은 지용성 물질을 가수분해하는 소화액인데, 유산균의 세포벽을 파괴하는 작용을 합니다. 이렇게 이중의 위험요소를 통과하는 유산균은 극소수에 불과합니다. 따라서 충분한 유산균을 장에 전달하려면 위산과 담즙에 견딜 수 있도록 특수 코팅을 하거나 캡슐에 넣어 보호해 주는 것이 필요한 것입니다. 그래야만 유산균이 장까지 생존해 갈 수 있습니다.
인체 내 소화 기관의 순서대로 설명을 드려보면, 위는 위산과 살균 작용을 위해 매우 산성이 환경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유산균도 박테리아에 속하기 때문에 위산에 의해 상당수가 대부분 소멸됩니다. 위를 통과한 이후에 소장에서 담즙산이 분비됩니다. 담즙은 지방을 분해하지만 담즙산은 살균 효과를 지니고 있어서 유산균은 이 부분에서 또 생존하지 못하게 됩니다.
소화기간을 거쳐가며 몸의 여러 방어기제와, 소화효소에 노출되기 때문입니다.
요구르트를 섭취하면 이것도 음식이기에 위에서 산성인 위산과 단백질 분해효소가 분비되며
소화과정을 진행합니다. 이 과정에서 대부분의 유산균이 소화되어 죽습니다.
이후 소장에서도 소화반응이 일어나며 다양한 분해효소들에 의해 살아남은 유산균의 대부분도 죽게됩니다.
유산균이 위산에 의해 살아남기 어렵다는 점이 있습니다. 위산은 유해한 세균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존재하며, 이로 인해 유산균도 위산에 의해 살아남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유산균은 대략 10% 정도가 장까지 살아서 간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유산균은 대부분 소화 과정에서 사멸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감사합니다.
유산균은 발효해서 젖산을 생성하는 균이며 그중에서도 사람의 체내에서 유익한 효과를 내는 유산균을 '프로바이오틱스'라고 하며 락토바실러스, 비피도박테리움, 스트렙토코쿠스, 락토코쿠스 등이 있습니다. 이런 유산균 섭취를 통해 건강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최소 하루에 1억 마리에서 100억 마리 정도는 섭취해야 하는데요, 이렇게 많이 섭취해야하는 이유는 유산균이 살아서 대장까지 도달해야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데 섭취한 유산균 대부분이 위와 소장을 거치면서 높은 산성의 위산과 담즙에 의해 죽기 때문입니다. 유산균은 말그대로 살아있는 생명체이기 때문에 체온과 소화액과 같은 요소로 인해 쉽게 사멸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