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성실한가오리138
성실한가오리138

염기성비가 내리면 어떻게 되나요??

오늘 아침에 비가 오는 것을 보고 문득 궁금해졌는데요.

1. 왜 비는 산성비 밖에 없나요?

2. 염기성비는 존재할 수 없는 건가요?

3. 염기성비가 내리면 어떤 일이 발생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고운푸들16
      고운푸들16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공기는 여러가지 기체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 중 비가 내리면 물에 잘 녹는 특성을 가진 기체들도 있습니다.

      바로 그러한 기체들이 내리는 비에 녹아 산성을 띄게 되는데요, 대표적으로 공기중의 CO2가 녹아 산성을 띄게 됩니다.

      공해가 심한 지역은 황산화물이나 질소화합물이 녹아 pH5이하의 산성을 띄기도 합니다.

      염기성비가 내릴 수 없는 이유도 이 때문인데요, 공기중에는 비에 의해 녹을 수 있는 기체는 산성물질들이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염기성비가 내리려면 수산화이온과 결합해야 하지만 대기 중에는 수산화이온이 거의 존재하지 않습니다.

      염기성비가 내린다면 대부분의 식물들이 생존할 수 없으며 건물의 외장인 화강석이나 벽돌등이 부식하여 손상이 발생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 비는 원래 어느 정도 산성도가 있지만 환경오염으로 인해 비의 pH가 5.6 이하가 될 경우, 이것을 산성비라고 합니다.

      공장에서 매연 등으로 인해 화석연료가 연소될 때 이산화황(SO2)가 발생합니다.

      이것이 질소산화물과 만나게 되면 빗물에 녹아내리게 되어 비의 산성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즉, 대부분의 오염 물질이 산성이기 때문에 산성비가 내리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