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열돔 현상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알려주세요.

2021년 북미 서부지역에서 열돔현상이 발생했다는 신문기사를 봤습니다.

이 열돔 현상이 일어나는 원리와

대응방안에 대해서 알고 싶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굉장한호돌이84
    굉장한호돌이84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열 돔 현상은 높은 대기압의 영역안에 따뜻한 공기를 갇히고나서

    이로인해 그 지역의 평균 온도와 높고 습도가 증가하는 현상입니다.

    보통 분지형태나 큰 도시 위쪽으로 잘 형성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열돔은 말 그대로 뜨거운 열기가 야구장의 돔처럼 특정 지역 대기를 감싸는 현상을 말합니다. 뜨겁게 달궈진 공기 덩어리가 반구 형태 지붕에 갇혀 계속해서 지표면 온도를 높이는 것이죠.

    날이 덥고 건조해지면 뜨거운 공기가 위로 올라가는데요. 그 지역에 고기압이 자리잡고 있으면, 고기압이 올라가던 뜨거운 공기를 다시 밑으로 내리누릅니다. 뜨거운 공기는 압력을 받아 내려가면서 압축되어 더욱 뜨거워지고 이 뜨거운 공기는 다시 상승했다가 고기압에 막혀 다시 내려오고, 그 과정을 반복합니다.

    이렇게 정체된 고기압이 형성된 이유는 지구온난화 때문인데요.

    지구온난화는 극 지방 기온을 올려 적도와 기온 차이를줄여 공기 순환을 줄이고 공기 흐름도 느려지게 합니다. 이에 따라 제트 기류가 약해지면서 공기를 섞어주는 역할을 하지못해 고기압이 정체되어 장시간 거의 움직이지 않는 고기압을 형성하게 되는겁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대기권에서 생성된 고기압이 반구의 형상으로 덥어져서 뜨거운 공기를 가두어 놓아서 폭염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질문에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고기압은 하강기류를 만들어냅니다.

    열돔 현상은 지상 10km이내 상공에서 발달한 고기압이 정체됨으로써 반원 모양의 열막이 형성되어 뜨거운 공기를 그 자리에 가둬 놓는 기상 현상인데요.

    쉽게 설명하자면 더운 공기로 된 거대한 돔이 한 지역을 완전히 봉쇄한 상황이라고 보면 됩니다.

    원래 특정 지역의 기온이 올라가면 상승 기류가 발생하면서 저기압이 생기고, 발달한 저기압은 주변 고기압과의 상호작용과 코리올리 효과(전향력) 때문에 이리저리 움직이기 마련입니다. 따라서 같은 계절의 같은 지역이라도 기온이 주기적으로 변하는 기상 현상이 생기는게 원래 기상입니다.

    그런데 발달한 고기압이 지나가다가 움직임이 잠시 멈춘 상태에서 고기압의 중심부 기온이 갑자기 올라가 버리면, 위의 그림처럼 중심부에서 올라간 뜨거운 공기는 외곽 지역으로 쏟아져 내리고, 외곽 지역의 덜 뜨거운 공기는 중심부로 흘러들어오는 자체적인 대류 싸이클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이렇게 국지적인 고기압-저기압 싸이클이 완성되어 버리면, 이 지역의 공기는 해당 지역 외부의 기압들과 상호작용 (대표적으로 바람) 없이도 안정적인 상태를 이루게 되고, 이렇게 안정화된 공기 덩어리가 해당 지역에 눌러앉아 버리면, 중심부의 더운 날씨가 끝도 없이 이어지는 불볕더위가 발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