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시뻘건물총새152
시뻘건물총새152

한 아이에게 집착하고 졸졸 따라다니는 아이 왜 그런걸까요?

아이가 어린이집에서 유독 한 아이만 졸졸 따라다니고 그 아이 하고만 놀려고 합니다.

집착 수준으로 안고 따라 다닌 다는데 집착을 당하는(?)아이가 많이 괴로워 한다고 하네요.

도대체 왜 그런 걸까요? 대처법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자녀가 친구에게 집착이 심한 경우 또래관계에 있어서 긍정적인 효과도 있지만 부정적인 효과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부모님의 많은 관심이 필요한 시기입니다. 지나친 걱정은 하시지 않아도 이런 특성은

      일정한 편향을 보이고 있을 뿐 아니라, 심리적 현상을 드러내는 것으로 저학년 때 개선할 수 있도록

      심리적인 원인을 잘 이해하고 침착하게 살펴보아야 합니다. 집착은 물건(장난감, 이불, 인형 등)에 대한 집착,

      부모에 대한 집착, 친구에 대한 집착, 인정을 받지 못해서 또는 긍정 에너지의 결핍 등 심리적인 원인에서 보여지는

      현상으로 아동청소년기에는 대개 물건에 집착하는 경우가 많은데 성장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자연스런 현상입니다.

      이러한 집착은 애착관계가 불안할 때도 나타나는데 집착의 정도가 미약해서 언제 그런 일이 있었나 싶게 넘어가기도 합니다

      . 친구와의 관계에 있어서 집착의 정도가 어느 정도인지 자녀에게 보다 많은 관심을 갖고 기다려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그 친구가 너무나 좋아서 그런 것 같으나

      이러한 행동은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는 것임을 알려주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아직 자기중심적인 성향이 강해서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상대방의 마음에 공감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친구들을 사귀는 게 쉽진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엄마, 아빠가 다른 사람들과 좋은 관계를 맺고 잘 지내는 모습을 보면서 자란 아이는 자연스럽게 그 모습을 닮아갈 것입니다.

      그리고, 어린 아이들일수록 여러 명과 두루 친하기 보다는 자신에게 가장 애착이 가는 친구와 어울리기를 좋아합니다.

      한 가지 놀잇감만 계속 놀거나, 한 가지 책만 계속 보듯이요.

      부모가 아이 친구들을 집에 초대해서 함께 어울리게 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