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활달한거북이38
활달한거북이38

지구과학 용어 중에 사층리가 무엇인가요?

여행을 소개하는 칼럼 중에, 대청도에 대한 소개 내용에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몸을 눕힌 모양새였다. 왼쪽부터 흰색, 붉은색, 회색이 겹겹이 어우러져 형성한 퇴적 구조는 그야말로 장관이었다. 퇴적 구조 뒤쪽으로 걸어가 '사층리'를 만났다." 내용에

사층리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굉장한호돌이84
    굉장한호돌이84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사층리는 퇴적물들이 평행하게있지않고, 한쪽의퇴적물은 비스듬하게 되어있는 층을 말합니다.

    주로 물의 흐름에의해 만들어집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사층리는 특정 지층을 뜻하는 용어로 수평으로 된 지층면에 대해 기울어진 층리의 형태를 같은 퇴적층을 뜻합니다.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수평우로 쌓인 주된 지층에 대하여기울어진 총리를 말합니다 말이 어려워서 저도 찾아보고 답변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수평으로 쌓인 주된 지층에 대하여 기울어진 층리를 말한다. 사층리는 실트보다 큰 입자들로 구성되어 있고, 특히 사암에 많이 나타난다. 사층리는 하천의 난류와 바람, 바다의 파도에 의해 만들어지며, 수심이 대단히 얕은 수저 또는 사막의 사구에서 볼 수 있는 퇴적 구조이다. 퇴적물이 쌓이며 사층리를 형성할 당시에는 사층리의 각도는 25°∼35°의 안식각을 유지하나 퇴적 후의 다져짐 작용으로 퇴적 당시보다는 훨씬 작은 각도(15°∼20°)를 가지게 된다. 그러나 지층이 횡압력을 받아서 변형하게 되면 도리어 안식각보다 큰 각도를 보이는 경우도 있다. 사층리에서 층의 기운 방향은 당시의 퇴적과 관계된 유수 또는 바람의 방향을 나타낸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층리는 퇴적암 등의 퇴적 구조에서 보이는 평행한 줄무늬를 말한다.(출처 - 위키백과). 사층리는 지표면이 물이 흘르거나 바람에 의해서 그 흐름 방향으로 물결늬가 생기는데 그것을 사층리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사층리는 퇴적물이 풍화, 침식, 운반, 퇴적되는 과정에서 층리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구조를 말합니다. 사층리는 주로 바람이나 파도에 의해 형성되며, 퇴적물의 입자 크기가 작을수록 층리가 뚜렷하게 나타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