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세심한향고래249
세심한향고래249

재화를 배제성, 경합성을 기준으로 사적재, 겅유재, 유료재, 공공재로 나누는데 어떻게 나누는건지 알려주세요.

재화를 배제성, 경합성을 기준으로 사적재, 겅유재, 유료재, 공공재로 나누는데 어떻게 나누는건지 알려주세요. 행정학을 보는데 헷갈려서요. 어떻게 구분하는건지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재화는 배제성과 경합성을 기준으로 사적재, 공유재, 유료재, 공공재로 나눌 수 있으며 각 유형의 재화는 서로 다른 특징과 장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분류는 경제학에서 주로 사용되며, 경제 활동을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 1. 사적재: 배제성과 경합성이 모두 존재하는 재화로, 소비자가 사용하면 다른 사람의 사용을 제한할 수 있고, 소비자가 지불한 만큼만 소비할 수 있는 재화입니다. 예를 들어, 음식, 옷, 전자제품 등이 사적재에 해당합니다.

    2. 공공재: 배제성이 없고 경합성이 있는 재화로, 한 사람이 사용해도 다른 사람의 사용을 제한할 수 없으며, 한 사람의 사용이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재화입니다. 예를 들어, 공원, 방송 등이 공공재에 해당합니다.

    3. 겅유재: 배제성이 없고 경합성이 있는 재화로, 한 사람이 사용하면 다른 사람의 사용을 제한할 수 없지만 자원의 소진이나 과잉 사용으로 인해 경합이 발생할 수 있는 재화입니다. 예를 들어, 어업 자원, 숲, 공유 자원 등이 겅유재에 해당합니다.

    4. 유료재: 배제성이 있고 경합성이 없는 재화로, 소비자가 지불하면 사용할 수 있고, 한 사람의 사용이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주지 않는 재화입니다. 예를 들어, 유료 방송 서비스, 체육관 회원권 등이 유료재에 해당합니다.

  • 질문해주신 사적재, 경유재, 유료재, 공공재 등으로 재화를 나누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재화나 서비스는 경합성과 배제성을 기준으로

    언급해주신 내용으로 나뉠 수 있다고 합니다.

    즉, 배재성X, 경합성X는 공공재로 배재성X 경합성O는 공유재로

    배재성O, 경합성X는 요금재로, 배재성O 경합성O는 민간재로 구분됩니다.

  • 안녕하세요~

    재화를 배제성과 경합성을 기준으로 분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배제성

    배제 가능: 한 사람이 재화를 소비하면 다른 사람이 소비하지 못하는 경우입니다.

    예를 들어, 사과, 옷, 자동차 등 대부분의 재화가 배제성을 지닙니다.

    배제 불가능: 한 사람이 재화를 소비해도 다른 사람이 동시에 소비할 수 있는 경우입니다.

    예를 들어, 공기, 국방, 법치 등이 배제 불가능합니다.

    2. 경합성

    경합적: 한 사람이 재화를 소비하면 다른 사람의 소비 가능성이 감소하는 경우입니다.

    예를 들어, 물, 석유, 음식 등이 경합적입니다.

    비경합적: 한 사람이 재화를 소비해도 다른 사람의 소비 가능성이 감소하지 않는 경우입니다.

    예를 들어, 공원, 도서관, 방송 등이 비경합적입니다.

    3. 재화의 종류

    사적재: 배제성과 경합성을 모두 지닌 재화입니다. 예를 들어, 사과, 옷, 자동차, 컴퓨터 등이 사적재에 속합니다.

    공유재: 배제 불가능이지만 경합적인 재화입니다. 예를 들어, 물, 석유, 어장, 대기 등이 공유재에 속합니다.

    유료재: 배제성을 지녔지만 비경합적인 재화입니다. 예를 들어, 도로, 교통, 통신, 방송 등이 유료재에 속합니다.

    공공재: 배제 불가능이며 비경합적인 재화입니다. 예를 들어, 국방, 법치, 치안, 공원 등이 공공재에 속합니다.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재화는 두 가지 기준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째, 배제성은 누군가 사용하지 못하게 할 수 있는지를 의미합니다.

    둘째, 경합성은 한 사람이 사용하면 다른 사람이 못 쓰는지를 뜻입니다.

    예를 들어 사적재는 배제성과 경합성이 모두 있어서 사과처럼 한 사람이 먹으면 다른 사람이 못 먹습니다. 반면 공공재는 배제성과 경합성이 없어서 국방처럼 모두가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배제성과 경합성이 모두 있는 재화는 빵, 자동차와 같은 사적재이고 배제성만 존재하는 재화는 골프장 이용권 경합성만 있는 재화는 물, 공기와 같은 공유자원 배제성과 경합성이 모두 없는 재화는 국방과 같은 공공재화 입니다.

  • 재화를 배제성과 경합성을 기준으로 분류하면,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배제성은 특정 재화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사람을 제한할 수 있는 정도를, 경합성은 한 사람의 소비가 다른 사람의 소비를 방해하는 정도를 의미합니다.

    1. 사적재: 높은 배제성과 높은 경합성을 가진 재화로, 한 사람이 소비하면 다른 사람이 그것을 소비할 수 없으며, 이용을 위해서는 대가를 지불해야 합니다. 예를 들면 음식, 옷, 자동차 등이 있습니다.

    2. 공유재: 낮은 배제성과 높은 경합성을 가지며, 모두에게 접근 가능하지만 한 사람의 소비가 다른 사람의 소비량을 감소시키는 특성을 가집니다. 예로는 공공의 목초지, 어업 자원 등이 있습니다.

    3. 유료재(클럽 재화): 높은 배제성과 낮은 경합성을 가지며, 이용하기 위해 비용을 지불해야 하지만 한 사람의 소비가 다른 사람의 소비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유료 TV나 골프클럽 멤버십이 여기에 속합니다.

    4. 공공재: 낮은 배제성과 낮은 경합성을 가지며, 누구나 이용할 수 있고 한 사람의 소비가 다른 사람의 소비량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국가 방위나 공공 조명과 같은 서비스가 이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분류는 경제학과 공공 행정에서 정책 결정과 자원 배분에 있어 중요한 개념입니다.

  • 안녕하세요. 제가 아는 선에서 답변 드려보겠습니다.

    사적재는 배제성과 경합성이 모두 존재하는 재화입니다. 즉, 특정 개인이 소비하려면 그에 대한 대가를 지불해야 하고, 한 사람이 사용하면 다른 사람이 사용할 수 없게 됩니다.

    경합재는 경합성은 있지만 배제성이 없는 재화입니다. 이런 종류의 재화는 대가를 치르지 않고서도 소비가 가능하며, 한 사람이 소비하면 다른 사람의 소비 가능성이 줄어듭니다.

    유료재는 배제성이 있지만 경합성은 제한적인 재화 입니다. 일정 비용만 내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으나 이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공공재는 배제성도 없고 경합성도 없는 재화입니다. 한 사람이 소비하더라도 다른 사람의 소비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대가를 치르지 않아도 소비를 막을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