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밤잠많은모기2
밤잠많은모기2

원달러 환율이 1500원을 돌파하면 시장에 어떤 영향이 있을까요?

오늘 저녁에 원달러환율을 보니까 1460원 돌파했더군요. 그만큼 달러의 상승세가 심상치 않은 거 같고 유튜브나 이런 곳에서는 1500원을 넘을 거 같다는 말이 많은데 그렇다면 원달러 환율이 1500원을 돌파하면 시장에 어떤 영향이 있을까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원달러 환율이 1500원을 돌파하면 수입물가 상승, 물가 압력, 해외자본 유출위험이 커집니다.

    기업의 외화 부채 상환 부담이 늘고 수입 기업의 원가도 급등합니다.

    결국 내수 둔화와 인플레이션 재확산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환율 상승은 미국 달러의 강세가 지속되면서 환율이 상승하는 모습인데요.

    미국 정부 셧다운이 지속되고 고용시장 불안정, AI거품론, 미중 갈등 등 글로벌 정세가 불확실해지면서 투자심리가 악화되고 있으며 이는 외국인들의 국내 증시 순매도가 확대되면서 자금 유출이 일어났고 이는 환율의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수출기업에게는 이익이 더 커질수 있어 유리할 수 있으나 수입기업에게는 원자재 등 더 비싼 비용을 지불해야해서 어려울 수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원-달러 환율이 1,500원을 돌파하게 되면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원-달러 환율이 1,500원을 돌파하게 되면 일단

    수입에 크게 의존하는 한국 경제 특성상 물가가

    많이 오르게 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원달러 환율이 1500원을 돌파하면 물가 상승과 기업 원가 부담 증가로 소비자 물가가 오르고 경기 전반에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 또한 금융시장 불안과 외국인 투자자들의 증시 이탈 우려가 커져 주식시장과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원달러 환율이 1500원을 돌파한다면 우선 수입 물가가 치솟아서 전반적인 물가 상승(인플레이션)이 가속화될 수 있고, 생활비 부담을 키울것입니다. 또, 환율이 높으면 수출 기업 입장에서는 가격 경쟁력이 생겨 좋다고 볼 수도 있지만, 원자재 수입 의존도가 높은 기업들은 비용 부담이 커집니다. 외국인 투자자들 입장에서는 한국 투자 자산의 가치가 상대적으로 낮아지는 것처럼 보여서 자금 유출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장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달러 환율이 1,500원을 돌파하면 우선, 한국은 수입 의존도가 높아 원자재 가격이 폭등하며 물가 상승 압력이 크게 높아져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감소됩니다.

    또한, 수출기업이 과거와 달리 원자재 수입 비용 증가로 수익성이 악화될 수 있으며, 외화 부채가 있는 기업과 금융기관의 부담이 눈덩이처럼 불어납니다.

    급격한 환율 불안은 외국인 투자 자금의 이탈을 부추겨 금융 시장 변동성을 확대시키고, 투자와 소비 심리가 위축되어 국가 경제 성장률이 크게 하락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원화 가치 급락으로 원자재, 에너지 등 모든 수입품의 가격이 급등하여 물가 상승이 가속화되고 가계의 실질 구매력을 크게 떨어뜨립니다. 환율 불안정은 한국 시장의 위험성을 극도로 높여 외국인 투자자들이 국내 증시에서 대규모 자금을 회수하게 만들며, 이는 국내 증시의 폭락으로 이어집니다. 기업들이 달러 부채 상환에 필요한 원화 부담이 급증하면서 기업의 재무 건전성이 악화되고 연쇄 부도의 위험까지 커집니다. 정부와 한국은행은 외환 시장 방어를 위해 보유하고 있던 외환보액을 대규모로 소진해야 하므로 국가 신용도에 심각한 타격을 입힐 수 있습니다. 국내 기업들의 수출 경쟁력은 일시적으로 높아지지만, 수입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인해 실질적인 채산성은 크게 악화됩니다. 이는 1997년 외환위기나 2008년 금융위기 수준의 금융 시스템 전반의 불안정성을 초래하는 초대형 악재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민우 경제전문가입니다.

    환율이 올라간다는것은 달러강세고 원화 약세라는 겁니다

    즉 미국의 국채 안전자산쪽으로 자금이 몰리고 위험회피성향이 짙어지는 상황인데요

    이는 국내 증시에 있어서 많은 악영향을 끼칩니다 

    대표적으로 외국인들의 매도세가 있습니다 오늘 역시 외국인들의 매도세가 있었습니다 

    달러 가치 상승 미국 금리 유지는 미국으로 자금이 유입되게 해서 미국내 증시는 우상향 할 지언정 글로벌 증시는 흔들릴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