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리스크 대비 수익을 판단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일반적으로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이라는 원리로 성장성이 높은 주식은 하락 시에 그만큼 폭이 깊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리스크 대비 수익을 판단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샤프 비율은 투자 수익률과 무위험 수익률의 차이를 수익률의 표준편차로 나누어 계산하는 지표로, 위험 대비 효율적 수익률을 평가할 때 활용됩니다.

    샤프 비율 = (포트폴리오 수익률 - 무위험 수익률) / 포트폴리오 수익률의 표준편차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고리스크 고위험이라는 단순한 원리를 넘어서, 얼마나 효율적으로 위험을 관리하면서 수익을 얻었는가를 정량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성공적인 투자의 핵심입니다.

    구체적으로 아무리 좋은 지표라도 본인이 견디지 못하면 의미 없는것처럼 개인의 위험 허용도가 모든 것을 결정합니다. 그리고 개인들마다 최대손실낙폭 허용도가 매우 중요하며 이에 연 30% 수익, MDD -60%보다 연 15% 수익, MDD -20%형태가 나오는 포트폴리오 구축이 장기적으로 유리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상관관계가 서로 확실히 반대되는게 분산투자지 단순히 종목이나 상품을 늘리는게 중요한게 아닙니다 상관관계 반대되는 자산을 구축하는게 분산투자입니다. 즉 얼마나 적은 위험으로 그 수익을 얻었는지가 더 중요하기 때문에 이 부분을 명심하고 장기적으로 투자를 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리스크 대비 수익을 본다 하면 거창한 계산법이 떠오르지만 사실은 단순합니다. 내가 감당할 수 있는 손실 범위를 먼저 정하고 그 안에서 기대할 수 있는 수익을 따져보는 거죠. 예를 들어 10퍼센트 떨어져도 버틸 수 있나부터 확인하는 식입니다. 그리고 그 종목이나 자산이 과거에 어떤 변동성을 보여왔는지도 참고가 됩니다. 시장 평균 대비 얼마나 더 출렁이는지 보면서 내가 감수할 만한 수준인가 따져보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리스크 대비 수익을 판단 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수익률만 보지말고 샤프지수와 같이 변동성에 비해 얼마나 효율적으로 수익을 내는지를 살펴보아야 합니다.

    개별 자산의 성장성뿐만 아니라 분산 투자를 통해 위험을 최대한 낮추고 손실 감당 범위를 명확하게 설정 하는 것도 매우 중요 합니다.

    즉 수익 가능성 대비 하락 위험을 수치화 한 후 포트폴리오 차원에서 투자 균형을 관리 하는 것이 핵심 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태영 경제전문가입니다.

    샤프 지수(Sharpe Ratio) 등 수익률을 리스크로 나눈 지표를 활용해 투자 효율성을 평가하고, 변동성(Volatility)을 분석해 수익의 안정성과 위험 수준을 파악합니다.

    목표 수익률 대비 손실 가능성을 시뮬레이션하거나 백테스트로 검증해 실질적 리스크를 판단합니다.

    *샤프지수(Sharpe Ratio)는 투자 성과를 평가할 때 사용하는 위험 대비 수익률 지표입니다. 쉽게 말해, 얼마나 안정적으로 수익을 냈는지를 수치로 보여주는 것입니다

    • 정의와 계산 방식

    - 샤프지수 = (자산 수익률 - 무위험 수익률) ÷ 수익률의 표준편차

    - 여기서 무위험 수익률은 보통 국채 같은 안전 자산의 수익률을 의미하고, 표준편차는 수익률의 변동성을 나타냅니다.

    - 샤프지수가 높을수록 동일한 위험 수준에서 더 높은 초과 수익을 낸 것이므로, 투자 효율성이 좋다고 평가됩니다.

    - 반대로 낮거나 음수일 경우, 위험을 감수한 만큼의 보상을 받지 못했다는 뜻이에요.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그것은 너무 주관적이기에 알 수 없으나 대략적으로 차트를 보면 하락폭이 깊어질 때 턴어라운드되는 봉들이 있습니다. 20일선 112일선 224일 선 등으로 살펴 보면서 그 선에 가까워질 때마다 내가 정한 금액으로 분할 매수를 하는 것이죠.

    큰 악재인 경우 단연코 더 떨어질 것이니 조금 더 낮춰서 들어가시면

    더 하락세가 오더라도 물을 제때 타서 기다리면 결국 수익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리스크 대비 수익을 판단하려면 일단 차트상에서는 올라갈 자리가 충분한지. 하락할만한 자리가 충분하지 등으로 분석할거같습니다. 또한 재무로 판단을 할것같다면 실적이 좋은지 등을 통해서 판단을 할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결국 어떠한 선택을하려면 해석을 할수 잇어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투자에서 수익률뿐아니라 변동성, 손실 위험을 같이 고려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샤프지수, 변동성 대비 수익률, 손익비 같은 지표를 활용하면 좋습니다. 단순히 얼마 오를수 있나가 아니라 얼마 떨어질 수 있나를 같이 비교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