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놀이

고상한들소76
고상한들소76

손자를 현명하게 교육하는 방법은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네살짜리 손자를 두고있는 사람 입니다

손자가 가끔씩 놀러오면 같이 놀아 달라고 졸라서 같이 놀아주곤 하는데,

아무래도 사내 아이라서 그런지 칼싸움 같은 놀이를 하는데, 손자가 아직 어려서 그런지 손에 힘을 조절하는 능력이 부족한지, 어리광의 의미인지는 몰라도

막대기 같은 가짜 칼로 상대방을 힘껏 때려서 아프게 하기도 하고 심지어 얼굴 같은 곳에 상처를 내기도 하는데, 손자 본인이 조금이라도 세게 맞으면 울거나 삐껴서 놀이를 그만둡니다.

질문의 요지는

어린 손자가 놀이를 하더라도 상대방을 아프게 힘껏 때리지 않도록 교육하는 방법을 문의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인간의 도리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걸 넘어가면 안되는 것들, 이건 반드시 아주 정확한 기준과 분명하게 안된다고 말해줘야 한다 라는 것

      즉 "안되는 건 안되는거야" 라고 아이에게 분명하게 말을 해줘야 합니다.

      고로 칼싸움은 좋지만 칼싸움을 하면서 상대를 때리거나 찌르는 행동은 옳지 않음을 알려주셔야 합니다.

      본인이 맞으면 아픈 것처럼 상대 역시도 아파한다 라는 것을 말하여 주도록 하세요.

      아이가 이해하고 받아들일 때까지 반복하여 알려주도록 하세요.

      훈육에 훈은 말로 가르치는 것입니다. 말로 잘 설명해 주세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네 살이면 아직은 힘의 강도의 쎄기를 조절하지는 못할 것입니다.

      놀이의 종류를 바꿔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함께 블럭 놀이를 하거나, 색종이 접기, 컵 쌓기 등 앉아서 할 수 있는 놀이를 준비하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훈육은 화를 내는 게 아닌 해야하는 것과 하면 안되는 것을 가르치는

      것입니다. 또 부모와 아이는 타협하는 관계가 아니며 의사결정의

      주도권은 양육자에게 있어야 합니다. 조부모와 손자, 손녀 간에도 마찬가지 입니다.

      아이들은 언어 메시지보다 비언어적 메시지를 받아들입니다.

      말이 아닌 말투를 듣는 것인데, 훈육하거나 지시할 땐 단호함이 중요합니다.

      타협은 상대방에게 결정권을 넘겨주는 것인데 아이와 부모는 타협의 관계가

      아닙니다.

      부모 자녀 관계에서 타협은 위험한 것으로 아이의 행동에 잘못된 부분은 단호히

      훈육하시는 것이 아이가 바르게 커나갈수 있을 것입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는 아직 스스로 조절을 못하기에 아프지 않게 조절하기는 어렵습니다.

      이러한 놀이를 하면서 상처를 주는것은 추후에 아이가 타인을 공격하는것에 대해서 별다른 죄책감을 느끼지 않고

      그냥 단순한 놀이로 느낄수있기에

      사람을 때리고 상처입히는 이러한 놀이는 지양하는것이 좋습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