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LBL이랑 Burkitt lymphoma 의 차이?
안녕하세요 공부하는 학생입니다.
림프종 의심해서 시행한 검사에서 아래와 같이 나왔는데..
의사는 DLBL을 진단했습니다..
Burkitt lymphoma 로 나왔는데 왜 DLBL인지 잘 모르겠어서요..
DLBL이 더 큰 범주라 그 안에 Burkitt lymphoma 가 속하는건가요?
혹시 추가로 어떤걸 확인해야할까요
골수검사 : UNREMARKABLE.
oral cavity NGS-Lymphoma panel :
Tumor type: Non-Hodgkin lymphoma
Pathologic diagnosis: EBV positive Burkitt lymphoma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의사의 진료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Burkitt 림프종이 검사 결과에 나왔음에도 DLBCL 진단을 받은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우선 담당 의사에게 정확한 설명을 듣는 것이 중요합니다. DLBCL은 B세포 림프종의 한 종류로, Burkitt 림프종과 임상 양상이나 유전자 특징에서 차이를 보일 수 있습니다. 조직 검사 결과, 면역표현형 검사, 유전자 검사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최종 진단이 내려지게 됩니다.
추가적으로 담당 의사에게 진단 과정을 상세히 문의하고, 필요한 경우 추가 검사를 요청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환자분의 상태에 맞는 최적의 치료 계획을 세우기 위해 담당 의사와의 충분한 상담은 필수적입니다.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다시 질문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DLBL과 Burkitt 림프종은 모두 비호지킨 림프종의 한 형태입니다. 비호지킨 림프종은 광범위한 범주의 질환으로, 서로 다른 세포 기원과 특징적인 세포 형태 및 분자 생물학적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DLBL, 혹은 Diffuse Large B-Cell Lymphoma는 가장 흔한 유형의 비호지킨 림프종으로, 큰 B-세포가 퍼져있는 형태를 보입니다. 반면에 Burkitt 림프종은 매우 빠르게 증식하는 고도 악성 림프종으로, 특징적으로 MYC 유전자의 재배열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번에 질문자분이 받으신 병리 진단에서 EBV 양성 Burkitt 림프종이라고 명시되어 있다면 이는 전형적인 Burkitt 림프종의 특성을 가집니다. 하지만, DLBL이 진단되었다는 것은 병리 결과와 임상적 소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림프종의 정확한 진단은 세포의 형태적 특성과 면역표현형, 유전적 이상 등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 요인을 토대로 결정됩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DLBL과 같은 큰 범주의 진단명이 부여될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확인해야 할 사항은, 치료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요인일 수 있습니다. 각각의 림프종은 치료 전략이 다를 수 있으므로, 세부적인 유전적 검사나 민감도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사항들은 담당 의료진과 자세히 논의해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DLBCL(Diffuse Large B-Cell Lymphoma)과 Burkitt lymphoma는 모두 고등급 비호지킨 림프종에 속하지만, 형태학적 특징과 유전자 이상이 다르기 때문에 구별됩니다.
Burkitt lymphoma는 일반적으로 MYC 유전자 재배열이 특징이며, 세포 증식 속도가 매우 빠르고 Ki-67 지수가 거의 100%에 가깝습니다. 반면 DLBCL은 더 이질적인 특성을 가지며, 다양한 유전자 이상과 면역표현형을 보일 수 있죠
특히, EBV 양성인 경우에는 DLBCL에서도 Burkitt 유사한 특징이 나타날 수 있어서 혼동을 줄 수 있습니다.
질문자님의 병리 결과에서 "EBV positive Burkitt lymphoma"라고 언급되었지만, 임상의가 DLBCL로 진단한 이유는 아마도 형태학적 특징이나 FISH 검사 결과에서 Burkitt lymphoma의 전형적인 유전자 이상이 확인되지 않았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MYC, BCL2, BCL6 등의 유전자 재배열 유무와 Ki-67 지수 등 병리 보고서의 세부 내용을 추가로 확인해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경우에 따라 병리 재판독이나 세컨드 오피니언을 받는 것도 진단의 명확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