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

현재 상반기 실적화회한 크래프톤인데요 하반기에는 실적 모멘텀이 증가할수 있을까요?

국내의 게임 대장주는 크래프톤입니다 그러나 상반기 실적을 다소 사회한게 문제인데요 그렇다면 하반기엔느 실적 모멘텀이 증가할 수 있을지 추가적인 기대감도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상반기 부진을 만회할 신작 출시와 해외 매출 확대가 관건입니다. 하반기 E스포츠, 모바일 게입에서 모멘텀을 기대할 수 있으나, 매출 구조가 특정게임 의존도가 높아 불확실성도 큽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의 게임 대장주 크래프톤의 실적 모멘텀이 증가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무래도 대작이 하반기에 나와야 하는데

    그런 소식이 아직은 없는 것을 보면 실적 모멘텀이 반등될 것을

    기대하기란 어렵다고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크래프톤의 현재 주가는 구조적 성장기에 있는 ‘펍지’ 판권의 가치를 모두 담아내지 못하고 있으며, 개발 중인 파이프라인의 가치도 배제돼 있고, ‘배틀그라운드 모바일’이 3분기 호실적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게임은 결국 ip를 제대로 만들어서 적은 투자로 많은 유저를 확보하는 싸움입니다

    • 그러나 현재는 베틀그라운드라는 게임 하나만으로 실적을 개선시키기에는 명확한

      한계에 부딫힐 전망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게임기업인 크래프톤의 경우 어떠한 기업과 마찬가지로 결국 실적이 바탕이 되어야 주가 상승이 있을것으로 보입니다. 차라리 고객을 끌어모으기 위해 이전에 유행했던 치킨 처럼 실제 치킨보상과 같은것을 준다거나 또는 어떠한 광고를 얻어온다거나 협력을 체결해서 고객들이 혜택을 받을수 있도록 하는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장수한 경제전문가입니다.

    전반적으로 크래프톤은 2025년 상반기에 기록적인 실력을 올렸고, 하반기에도 여러 모멘텀이 기대되는 상황입니다. 상반기 실적이 예상보다 아쉬웠다는 인상도 있지만, 25년 상반기 매출 1조 5천억원, 영업이익 7천억원으로 반기 기준 사상 최고 기록을 세웠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약 11.9%, 영업이익은 약 9.5% 증가했습니다. 하지만 2분기만 보면 다소 분위기가 수그러든 흐름입니다. 매출 6,620억원, 영업이익 2,460억원 수준입니다.

    대신증권은 하반기부터 실적 성장세가 이어지며, 연말로 갈수록 신작 모멘텀이 강화될 것이라고 했습니다. 3분기와 4분기에 여러 협업(포르쉐, 에스파, 부가티 등)이 예정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전년 동기 대비 20% 이상의 실적 성장도 가능하다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또한 하반기 업데이트와 신작 서브노티카2의 기대감이 이어질 것이라며 우려할 게 없다는 반응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크래프톤 얘기 나오면 다들 관심이 커지는 것 같습니다. 상반기 실적은 시장 예상보다 아쉬웠다고 합니다. 일단 기존 흥행작 의존도가 여전히 높고 신작 라인업의 성과가 본격화되지 않은 점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입니다. 하반기에는 인도 시장 회복 여부와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업데이트 효과가 중요한 변수로 꼽힙니다. 또 대형 신작 출시 일정이 잡혀 있는지도 투자자들이 지켜보는 포인트라고 합니다. 다만 글로벌 게임사 경쟁이 치열해진 상황에서 모멘텀이 단번에 커지긴 쉽지 않다는 시각도 있습니다. 제 판단으로는 단기보다는 중장기 신작 성과에 더 무게를 두는 게 맞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실적 둔화 문제는 배틀그라운드의 단일 IP에 대한 높은 의존도입니다 여전히 배틀그라운드의 높은 매출 비중을 벗어나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거기다가 배틀로얄 장르의 경쟁 심화도 중요한 요인입니다. 다양한 경쟁작들이 등장하면서 시장 점유율 경쟁이 치열해졌고, 특히 젊은 세대에서는 새로운 트렌드의 게임들이 주목받고 있는게 문제입니다. 우선 하반기엔 '서브노티카 2'도 주목할 만한 프로젝트입니다. 인기 해양 생존 어드벤처 게임의 후속작으로, 전작의 성공적인 팬덤을 기반으로 안정적인 흥행이 기대됩니다. 또한 인조이 게임의 향후 DLC판매와 좀더 콘텐츠를 확장시켜서 매출을 확대하고 IP를 강화하는게 중요해보이며 하반기엔 그래도 여러 콜라보를 통해서 하반기엔 매출이 좀더 늘어날 수 있는 요소로서 기대할 수 있는 부분으로 판단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