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 용어 중에 쿠로시오 해류는 어떤 해류를 이야기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수온 상승이 나타나면서 수산자원에 영향을 끼친다는 뉴스 중에
"한반도 수산자원에 큰 영향을 끼치는 쿠로시오 해류에서 최근 급격한 수온 상승이 나타나면서 정부가 원인 분석과 대응 방안 마련에 나섰다." 내용에
쿠로시오 해류는 어떤 해류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본해류(日本海流)라고도 한다. 대서양의 멕시코만류 다음으로 규모가 큰 난류로, 시계바늘방향으로 환류하는 북태평양환류의 일부를 이룬다. 해류의 원천은 필리핀 동쪽 해상에서 북쪽으로 이동하며 폭은 약 100km이고 해류의 깊이는 약 3000m이다.
해류의 흐름은 타이완과 일본 류큐제도[琉球諸島]의 이시가키섬[石坦島] 사이를 지나 동중국해로 들어와서 오키나와 서쪽의 대륙붕 외연(外緣)을 따라 북상하다가 아마미오섬[奄美大島]과 야쿠섬[屋久島] 사이의 도카라해협[吐恩喇海峽]을 거쳐 다시 태평양으로 나오는데, 일부는 오키나와 서쪽에서 갈라져 쓰시마해류[對馬海流]와 제주해류가 되어 동해와 황해로 북상한다.
일본열도 동안(東岸)을 북상하는 흐름은 지바현 조오[銚子] 시(市) 앞바다에서 양분되어, 본류는 쿠로시오 속류(續流)로 동쪽으로 흐르고, 다른 분류는 북동쪽으로 향하여 북쪽 쿠릴열도에서 남하하는 쿠릴(Kuril)해류와 마주친다. 유속(流速)은 주류대(主流帶)에서 3∼5kn이고, 폭은 비교적 좁아 유속 2kn 이상의 속류부에서는 보통 55km 정도이다. 흐름은 상당한 깊이에 이르며, 700m 깊이에서 1kn, 1,000m 깊이에서 10cm/sec 정도의 흐름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수면의 온도는 여름에 약 30℃, 겨울에 20℃ 이하이며, 수면의 염분은 여름에 약 34.8‰, 겨울에 34‰ 이하이다. 쿠로시오 해류는 투명도가 높아 검푸른색으로 보이기 때문에 검은색의 조류라는 의미로 쿠루시오[黑潮:흑조]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계절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데 5~8월에 가장 강하고 늦여름과 가을에 약화되며, 1~2월에 강해지다가 이른봄에 다시 약해진다.
또, 일본 혼슈[本州] 중서부에서 북동부에 걸친 앞바다에서 해에 따라 유로가 현저하게 바뀌는 일이 있는데, 특히 기이반도[紀伊半島]에서 이즈반도[伊豆半島]에 걸친 앞바다에 대냉수괴(大冷水塊)가 출현함으로써 그것을 우회하는데 이를 ‘쿠로시오 이변’이라고 한다.
출처:두산백과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쿠로시오 해류는 북태평양 동부를 따라 흐르는 강력한 해류로, 일본어로 "검은 바다"라는 뜻입니다. 이 해류는 북태평양의 기후와 해양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해류 중 하나입니다.
쿠로시오 해류는 북태평양에서 알류코 섬과 호주 대륙 사이의 동경 100도 선을 따라 북상하는 북태평양 해류 시스템의 일부입니다. 이 해류는 따뜻한 남쪽의 대류와 차가운 북쪽의 대류가 격추되어 형성됩니다. 이러한 충돌로 인해 쿠로시오 해류는 강력하고 빠른 속도로 흐르며, 폭발적인 기후 조건과 다양한 해양 생태계를 형성합니다.
쿠로시오 해류는 일본 해류라고도 불리며, 주로 푸른 물과 차가운 온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해류는 일본의 날씨와 기후에 영향을 주는데, 일본의 상대적으로 쌀쌀한 여름과 따뜻한 겨울을 형성하는 데 기여합니다. 또한, 쿠로시오 해류는 다양한 해양 생물들의 이동 경로이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쿠로시오 해류는 북적도 해류와 북태평양 해류를 연결하는 해류입니다. 필리핀과 대만을 지나 일본의 동쪽을 따라 흐르는 해류로 유속이 매우 빠른 해류입니다. 저위도에서 고위도로 흐르는 난류이며, 쿠로시오 해류에서 갈라져 나온 지류가 우리나라 쪽으로 오면서 황해로 들어가는 황해난류, 동해로 들어가는 동한난류와 쓰시마난류가 됩니다. 쿠로시오 해류의 수온이 상승한다는 것은 북적도 해류의 수온이 상승한다는 의미가 되고 이것은 지구온난화에 따른 해수의 온도 상승이 되기 때문입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쿠로시오 해류는 태평양 서부에서 북쪽으로 흐르는 난류입니다. 기원은 적도의 북쪽을 북동 무역풍에 이끌려 북적도 해류가 태평양을 횡단하여 서쪽으로 흐른다. 그것이 필리핀이나 타이완의 먼바다에서 북쪽으로 굽어서 흐르면서 쿠로시오 해류가 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북태평양 서부와 일본열도 남쪽을 따라 북쪽과 동쪽으로 흐르는 해류.
일본해류(日本海流)라고도 한다. 대서양의 멕시코만류 다음으로 규모가 큰 난류로, 시계바늘방향으로 환류하는 북태평양환류의 일부를 이룬다. 해류의 원천은 필리핀 동쪽 해상에서 북쪽으로 이동하며 폭은 약 100km이고 해류의 깊이는 약 3000m이다.
해류의 흐름은 타이완과 일본 류큐제도[琉球諸島]의 이시가키섬[石坦島] 사이를 지나 동중국해로 들어와서 오키나와 서쪽의 대륙붕 외연(外緣)을 따라 북상하다가 아마미오섬[奄美大島]과 야쿠섬[屋久島] 사이의 도카라해협[吐恩喇海峽]을 거쳐 다시 태평양으로 나오는데, 일부는 오키나와 서쪽에서 갈라져 쓰시마해류[對馬海流]와 제주해류가 되어 동해와 황해로 북상한다.
일본열도 동안(東岸)을 북상하는 흐름은 지바현 조오[銚子] 시(市) 앞바다에서 양분되어, 본류는 쿠로시오 속류(續流)로 동쪽으로 흐르고, 다른 분류는 북동쪽으로 향하여 북쪽 쿠릴열도에서 남하하는 쿠릴(Kuril)해류와 마주친다. 유속(流速)은 주류대(主流帶)에서 3∼5kn이고, 폭은 비교적 좁아 유속 2kn 이상의 속류부에서는 보통 55km 정도이다. 흐름은 상당한 깊이에 이르며, 700m 깊이에서 1kn, 1,000m 깊이에서 10cm/sec 정도의 흐름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수면의 온도는 여름에 약 30℃, 겨울에 20℃ 이하이며, 수면의 염분은 여름에 약 34.8‰, 겨울에 34‰ 이하이다. 쿠로시오 해류는 투명도가 높아 검푸른색으로 보이기 때문에 검은색의 조류라는 의미로 쿠루시오[黑潮:흑조]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계절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데 5~8월에 가장 강하고 늦여름과 가을에 약화되며, 1~2월에 강해지다가 이른봄에 다시 약해진다.
또, 일본 혼슈[本州] 중서부에서 북동부에 걸친 앞바다에서 해에 따라 유로가 현저하게 바뀌는 일이 있는데, 특히 기이반도[紀伊半島]에서 이즈반도[伊豆半島]에 걸친 앞바다에 대냉수괴(大冷水塊)가 출현함으로써 그것을 우회하는데 이를 ‘쿠로시오 이변’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