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손에 뜨거운 물체가 닿으면 순식간에 뜨겁다고 느낍니다. 이 현상은 생체전기의 신호로 알 수있는건가요?

손에 뜨거운 물체가 닿으면 순식간에 뜨겁다고 느낍니다. 이 현상은 생체전기의 신호로 알 수있는건가요? 생체전기의 속도는 일반 전자제품의 전기의 속도, 빛의 속도와 같은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유택상 전문가
    유택상 전문가
    서울교통공사 검수팀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손에 뜨거운 물체가 닿았을 때의 반응은 감각신경을 통한 생체전기 신호 덕분입니다. 이 신호는 아주 빠르게 뇌로 전달되어 우리가 즉각적으로 뜨거움을 느끼게 됩니다. 생체전기의 전도 속도는 일반적인 신경에서 대략 1~120 m/s로, 이는 전자기기에서의 전기 속도(광속에 가까움)에 비해 매우 느립니다. 빛의 속도는 약 299,792,458 m/s로, 이와 비교하면 생체전기의 속도는 훨씬 느린 편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손에 뜨거운 물체가 닿을 때 빠르게 뜨거움을 느끼는 것은 신경계를 통해 전달되는 생체전기의 신호 덕분입니다. 이 신경 신호는 전자제품의 전기 신호보다 느리며, 빛의 속도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느립니다. 사람의 신경 신호는 약 1~120m/s 정도의 속도로 전달됩니다. 일반 전기 신호는 초당 수억 미터를 이동하고, 빛의 속도는 초당 약 300,000km입니다. 따라서 생체전기는 신경 세포 내의 화학적·전기적 변화를 통해 정보가 전달되며 이는 우리의 감각이 빠르게 작동할 수 있게 해줍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손에 뜨거운 물체가 닿으면 순식간에 뜨겁다고 느끼는 현상은 생체전기의 신호 덕분에 가능합니다. 이때 피부의 감각 수용체가 열을 감지하고, 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해 신경을 통해 뇌로 전달합니다. 생체전기는 신경 세포의 전기적 활성화로 발생하는 신호이며 그 속도는 일반 전기 제품의 전기나 빛의 속도보다 훨씬 느립니다. 생체전기의 신호 전달 속도는 신경 유형에 따라 다르지만 평균적으로 약 1~120 m/s 정도로 이는 빛의 속도에 비해 매우 느린 편입니다. 그러나 인간이 느끼기에 충분히 빠른 속도로 작동해 즉각적인 반응을 유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