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떡뚜꺼삐
떡뚜꺼삐23.04.17

일상 언어중에 유독 "우리"라는 표현을 왜 쓸까요?

우리나라 사람들은 정이 많아서 일까요?

왜 일상 언어중에 우리라는 표현을 많이 쓸까요?

내딸.내엄마.내아빠.내마누라.내남편 ~~(내대신 나의로 바꿔도 좋습니다)

어쨌거나 내남편을 우리 남편하면 그자리에 있는 여자들 모두의 남편이 되어 버리잖아요?

마누라도 마찬가지구요~~

왜 그런표현을 쓴다고 생각하세요?

미국에서는 my husband라고 하지 our husband라고 안하잖아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즐거운 나날입니다.

    우리말에서 <우리> 는 거의 <나의> 와 겹쳐져 사용되지요.

    아마도 오랜 세월 일정한 주거지에 고착된 농업 기반의 씨족 사회에 살면서
    <나>와 <우리>의 구분이 그다지 중요하지 않아서 발생한 현상 아닐까요?

    불과 백 여 년 전까지만 해도 씨족 마을 속에서 일생 동안 살면서 <나>를
    내세울 일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을 테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