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알뜰한참매216
알뜰한참매216

나그네새 벌매가 왜 나중에는 여름철새처럼 우리나라에 여름이 될 때 찾아오거나 번식을 하게 되었나요?

동남아시아부터 사계절이 있는 우리나라 숲으로 날아오는 벌매가 원래 드문 나그네새였잖아요.

주로 바람이 강하게 불 때 이동을 하죠.

그런데 왜 나중에는 나그네새였던 벌매가 왜 나중에는 여름철새처럼 우리나라에 여름이 될 때 숲에 찾아오거나 번식을 하게 되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벌매는 사실 과거에 우리나라를 단순히 스쳐 지나가는 나그네새로 분류되었습니다. 주로 동남아시아에서 번식하고 겨울을 보내는 도중, 이동 경로에서 우리나라를 잠시 들르는 새였죠.

    하지만 최근 몇십 년 사이, 벌매가 우리나라에서 여름을 보내며 번식하는 여름철새의 특징을 보이고 있는데 가장 큰 이유는 기후변화 때문입니다.

    다시 말해 지구 온난화로 인해 우리나라의 여름철 기온이 상승하고 기간이 길어지면서, 벌매가 번식하기에 적합한 환경이 조성된 것입니다. 게다가 벌매의 주요 먹이인 벌집을 짓는 벌의 활동 기간이 늘면서 먹이를 얻을 수 있는 가능성도 매우 높아졌습니다.

    또한 우리나라의 숲이 비교적 안전하고 먹이를 구하기 쉬운 것으로 인식한 것도 주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기후 온난화로 한국 여름이 번식에 적합해지고, 개체수 증가 서식지 개선으로 분포가 북상했기 때문이랍니다.

  • 벌매가 나그네새에서 여름철새로 관찰되는 경향이 늘어난 것은 기후 변화로 인해 한반도의 기온이 상승하면서 번식에 적합한 환경이 조성되었기 때문입니다. 기온 상승은 벌매의 주 먹이인 땅벌, 말벌 등의 유충과 번데기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기간을 늘려주었고, 과거 녹화 사업으로 울창해진 숲이 안정적인 서식지를 제공하면서 국내에서 번식하는 개체군이 정착하거나 증가한 것으로 분석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