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건강상담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건강상담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1.09

알레르기 검사를 받을 수 있나요?

나이
28
성별
남성

사람마다 먹을때마다 이상 반응이 오는 음식들이 있잖아요.

근데 혹시 이 알레르기가 뭐가 있는지 모를 때, 병원에서 검사받을 수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붉은미르
    붉은미르22.11.09

    안녕하세요.

    알러지원에 대하여 찾을수있는 알러지검사가있습니다.

    하지만 이전에 알러지가 없던 성인은 검사해더 알러지원을 찾기는 어려울수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알러지 검사는 크게 다음과 같이 구분됩니다.

    1. 피부반응검사

    - 항원을 한 방울씩 등이나 팔에 떨어뜨린 후 바늘로 긁어 15분 후 판독합니다. 빠르며 혈액검사보다 정확하지만 항히스타민제등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MAST(Multiple Allergen Simultaneous Test)

    - 혈액으로 하는 검사로 음식을 포함하여 많은 알러지원을 확인해볼 수 있으며 정확도는 피부반응검사보다 낮지만 항히스타민제등을 사용하여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피부과등에서 MAST나 Unicap 검사등 피검사를 통해 특정물질에 대한 검사가 가능합니다.

    다만 모든 물질에 대한 검사가 가능한 것은 아니고 대표적인 몇가지에 대한 검사이므로

    원인을 찾지 못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네 기본적인 알레르기 검사를 혈액채취를 통해서 알수 있습니다.

    가까운 내과 방문해보시기 바랍니다.


  • 알러지에 대한 검사가 존재합니다. 이는 흔하게 알러지를 유발하는 여러가지 항원들에 대한 반응을 확인하는 검사로 모든 종류의 알러지를 감별 및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알러지내과나 피부과 등 병원에서 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의연한멧토끼201님.

    병원에서 알레르기 유발물질을 100종 이상을 진단할 수 있는 검사를 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피부과, 이비인후과 등에서 알레르기항원검사가 가능합니다.

    미리 병원에 검사가능여부를 문의 후 내원해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검사받을 수 있습니다. 항원검사라고 해서 피검사로 확인하는 방법이 있고 피부에 항원을 노출시켜서 반응을 보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런데 병원에서는 가장 흔한 항원물질 50여가지 정도만 검사를 할 수 있습니다.

    세상 모든 물질에 알러지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검사를 통해 모두 확인할 수는 없겠습니다.

    검사 원하시면 알러지내과나 피부과 방문하시면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두드러기가 자주 생기는 분이라면 알레르기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다만 모든 종류의 음식에 대한 알레르기 검사는 불가능합니다. 종류가 너무 다양하니깐요. 흔하게 음식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종류에 대한 검사 정도만 가능해서 얼마나 도움이 될지 모르겠습니다. 일단 가장 효과적인 것은 음식을 드시고 나서 두드러기가 생겼다면 가능성이 높은 음식이니 다음부터는 피해 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노동영 의사입니다.

    알레르기 검사에 대해서 궁금하시군요.

    피검사로 하는 알레르기 검사는 MAST검사라고 합니다.

    각 항원에 대한 Specific IgE 항체 역가를 보는 검사입니다. 한번에 수십개의 항원에 대한 검사를 합니다.

    피검사로 하는 검사는 양성이라고 해도 실제로는 알러지가 없는 경우도 많습니다. 보통 3+ 이상(강양성)일 경우 의미가 있을 수 있다고 보며, 3+ 이상인 항원에 대해 실제로 환자가 임상적으로 증상이 있을 경우 원인 항원으로 생각을 합니다. 이런 검사를 위양성(거짓양성, 검사는 양성이나 실제는 관련이 없는 경우)이 많다고 합니다. 때문에 피검사 결과는 반드시 실제 환자가 해당 항원에 알러지 반응을 일으키는지 임상적 인과관계를 함께 살펴봐야 합니다.

    대신에 피검사에서 음성일 경우 굉장히 신뢰도가 높습니다. 즉 피검사에서 음성이 나온 항원은 알레르기를 일으킬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피검사로 게/새우에 대한 반응이 negative (-) 이나 0 으로 나왔다면, 실제로 게/새우 알러지가 없을 가능성이 큽니다.

    피부반응 검사의 경우 실제로 항원을 피부에 소량 주입해서 반응을 관찰하는 것이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조금 더 정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검사방법이 까다롭고, 힘들어서 대학병원급에서만 시행합니다. 그리고 항원 종류가 피검사만큼 다양하지 않습니다.

    정리하자면 피검사는 음성결과에 더 높은 신뢰도를 보이고, 피검사에서 양성이 뜬 항원은 반드시 실제 임상적 인과관계를 따져봐야 합니다. 피부반응검사는 실제 임상적 결과와 비슷한 신뢰도를 가질 수 있으나, 검사 방법이 까다롭고, 검사 가능한 항원의 다양성이 피검사보다 제한적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답변이 되셨나요?

    질문자님의 적극적인 답변 추천, 좋아요 그리고 채택은 저희 답변자들에게도 긍정적인 피드백이 됩니다. 도움이 되신 답변에는 긍정적인 반응을 많이 해주셔서 앞으로 더 좋은 답변이 순환되게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