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미술 이미지
미술학문
미술 이미지
미술학문
귀때기스무대날리뿟노
귀때기스무대날리뿟노23.09.12

동양화는 서양화와 대표적인 차이점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그림을 보면 화풍이 동양화와 서양화가 있던데요.

이 동양화와 서양화의 대표적인 차이점이 뭔지 궁금합니다.

동양화의 강점이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9.12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서양화와 동양화의 차이점은 먼저 서양화에서는 캔버스에 유화로 그림을 많이 그리는 편이고 동양화는 얇은 화선지를 깔고 그 위에 먹으로 그림을 많이 그립니다.

    서양화는 오래 보관이 가능하며 광택이 나고 세밀하며 사실을 왜곡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그린다는 것입니다. 반면 동양화는 먹물 그림에서는 볼 수 없는 그 특유의 세밀함이 더 돋보인다고 할 수있으며 오랜 기간 그림을 그려 필력을 익히고 그 필력으로 선을 뽑아내는 기법은 정말 감탄을 자아낼만한 특징 중 하나이지요. 그리고 동양화의 그림에는 여백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여백의 미를 잘 살려 그림을 감상할 때 운치가 느껴지고 운필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찬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전시해설을 하고 있는 김찬우 입니다.

    많이들 물어보시는 질문입니다. 동양화와 서양화는 사실 회화 제작기법을 나타내는 말이 아닙니다. 과거에는 화선지위에 검정색 먹으로 그리면 동양화, 천으로 된 캔버스 위에 유화나 아크릴 물감으로 그린 그림을 서양화라고 한적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서양화, 동양화로 나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위처럼 구분을 나뉘었던 당시엔 동서양 교류가 활발하지 않던 전근대 시기에 회화 제작 기법과 재료에 차이가 있었기 때문에 나뉘었지만 지금은 글로벌 시대고 외국과 정보가 실시간으로 소통되는 시대 입니다. 그래서 동양과 서양을 나눠서 생각 할수 없을 정도로 재료의 차이도, 방법의 차이도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동시대의 미술은 동양, 서양 으로 나뉘어서 생각할 수가 없습니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사실 죽은 단어라고 할수도 있겠습니다.

    그럼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서양화와 동양화는 크게 재료, 기법, 지향하는 정신 세계로 나뉩니다

    일단 재료를 살펴보면 서양화에서는 캔버스에 유화로 그림을 많이 그리는 편이고

    동양화는 얇은 화선지를 깔고 그 위에 먹으로 그림을 많이 그립니다

    그리고 서양화 기법의 특징은 오래 보관이 가능하다는 점이고 광택이나며 세밀하고, 사실을 왜곡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그린다는 것입니다. 세밀한 부분은 동양화에서도 마찬가지이지만

    동양화의 먹물 그림에서는 볼 수 없는 그 특유의 세밀함이 더 돋보인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동양화 기법의 특징은 필력이 필요하단 것 입니다. 오랜 기간 그림을 그려 필력을 익히고 그 필력으로

    선을 뽑아내는 기법은 정말 감탄을 자아냅니다. 그리고 동양화의 그림을 감상하면 여백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여백의 미를 잘 살려 그림을 감상할 때 운치가 느껴지고 운필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을 것 입니다.

    서양화와 동양화의 정신세계도 차이가 확연합니다. 일단 서양화는 과학적이고 사실적인 그림을 그린다는 것, 눈에 보이는 것을 직접적으로 그린다는 것, 현실을 그린다는 것입니다. 정물화나 풍경화를 감상하면

    실제 그대로를 화폭에 옮겼음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동양화는 조금 다릅니다. 동양화는 정신적 세계를 지향하기 때문에 정신적인면과 은유적인 면,

    감정을 담은 모습이 두드러집니다. 정신세계를 표현하고 관념적인 특성이 있는 동양화는 서양화보다는

    정적인 측면도 없지 않아 있는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동양화와 서양화의 대표적 차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재료와 기법

    동양화는 화선지, 먹, 붓을 주재료로 사용하고, 서양화는 캔버스, 유화물감, 붓, 펜 등을 주재료로 사용합니다. 동양화는 화선지에 먹으로 그림을 그리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비단, 종이, 나무판 등을 재료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서양화는 유화물감으로 그림을 그리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수채화물감, 아크릴물감, 수묵화물감 등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표현 방법

    동양화는 선과 여백을 중시하고, 서양화는 원근법과 음영법을 중시합니다. 동양화는 붓과 먹을 사용하여 선과 여백을 표현하고, 서양화는 붓과 물감, 펜 등을 사용하여 원근법과 음영법을 표현합니다.


    미적 가치

    동양화는 자연의 미와 정신을 추구하고, 서양화는 현실의 미를 추구합니다. 동양화는 자연의 아름다움을 표현하고, 정신적인 깊이를 추구합니다. 서양화는 현실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표현하고, 아름다움을 추구합니다.


    역사와 전통

    동양화는 중국에서 기원하여 한국, 일본, 베트남 등 동아시아에 전파되었고, 서양화는 유럽에서 기원하여 전 세계로 전파되었습니다. 동양화는 유구한 역사와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서양화는 근대에 들어서 발전하였습니다.


    이러한 차이는 동양과 서양의 문화적 차이에서 비롯됩니다. 동양은 자연과 조화를 이루고, 정신적인 깊이를 추구하는 문화를 가지고 있습니다. 서양은 현실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문화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가 동양화와 서양화의 표현 방법과 미적 가치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좋은 하루 되세요 ^^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동양화와 서양화는 재료의 사용과 생활양식과 세상을 보는 방식 등의 차이점이 있으며 동양화의 강점이라고 한다면 여백의 미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휴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동양화는 전통적인 수묵화 수묵채색화 등 기법과 전통적인 형식이 있습니다.

    미술 평면회화에서는 안료와 본드가 물감이 되며 바탕이 무엇이냐가 주를 이룹니다.

    이 중 안료는 색가루인데 이 가루에 어떤 본드를 섞느냐가 관건입니다. 동양화는 아교라는 본드를 사용합니다. 토끼나 돼지등의 뼈를 고아서 만들며 이 안료가 즉 본드 접착 및 점성물질이 되어줍니다. 고분벽화 일본의 우키요에 한국화 모두 동양화로 볼 수 있습니다.


    서양화의 경우 수채화는 안료에 아라비아고무액이며 아크릴은 아크릴수지. 유화는 벤젠이라는 천연성분이 안료와 함께 점성을 이룹니다. 이 벤젠은 오일종류라 물처럼 투명하지않고 살짝 누런끼를 내어 색이 무거워집니다. 독일이나 북유럽에서는 카세인이라는 접착제를 안료와 섞기도합니다. 이와 같은 형식이 재료기법이되며 제빵주인이 빵을 만드는방법이 다를 수 있듯 창작자들이 섞어쓰기에 따라 달라지며 화학실험이 되기도합니다. 벤젠(유화)은 서양화의 주 성분이며 얀반에이크형제가 만든 물감입니다. 아주 살짝 누런 셀로판지로 대상을 볼때 느낌이 됩니다. 불투명화로 주로 쓰이며 바탕재료도 지류인 종이나 장지 화선지가 아닌 면이나 마 등의 캔버스에 그려집니다.


    동양화의 강점이라고 하면 개인적인 의견차이가 있겠지만 제 생각엔 햐얀 종이와 여백에서오는 정서와 옷이 물에 자주 빨아 색이 바랜듯 고풍스럽고 차분한 느낌이 있으며 대체적으로 원터치위주로 그려지며 덕지덕지 덧바른 서양화에 비해서 기술적인 반복이 요구됩니다.


    동양화에서도 요즘은 현대미술에 흐름에 맞추어 현대 서양화나 믹스미디어처럼 다양한재료를 복합하여 쓰며 예전처럼 동양화다 서양화다 라기보다는 페인팅의 일부로 파인아트에 해당합니다. 서양화 또한 장지나 동양화재료바탕을 캔버스에 붙이기도 하듯이 확고한 장르구분을 지어 작업하기도 하며 이를 허물어 작업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동양화의 경우 전통적인 재료, 화법을 이용해 그리며 직관적으로 그림을 그립니다.

    주 재료로 먹을 이용하고 그림이 주로 평면적이고 선과 여백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서양화의 경우 유화, 수채화, 연필화, 크레용화 등 재료에 따라 다양하게 나뉘며 논리적인 그림을 그리며 그림을 그리고 덧바르거나 혹은 꺾는식으로 그림을 그립니다.

    동양은 인간 역시 자연의 일부로 보지만 서양의 경우 자연은 인간이 극복할 대상으로 생각하며, 동양화의 경우 화선지와 비단, 먹, 먹물을 사용하고 서양화의 경우 종이나 캔버스, 수채화, 유화 , 붓 등을 사용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말기까지 글씨와 함께 서화(書畵)로 지칭되던 우리나라의 전통 그림을 새로 들어온 서양화와 구분하기 위하여 붙인 이름이다. 종이나 비단, 붓, 먹, 채색 등 서양화와 대응되는 동양의 전통적 재료와 기법 및 이론을 사용하여 그린 동양 그림의 일반적 명칭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동양화’라는 명칭은 1920년경부터 쓰이기 시작하였다. 공식적인 사용은 1922년에 개최된 조선총독부 주최의 제1회 조선미술전람회(약칭 선전)의 제1부를 ‘동양화부’로 부르면서부터였다. 1945년 광복 뒤에도 대한민국미술전람회(약칭 국전)에서 이 명칭을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일반화되었다. 그러나 1970년경에 이르러 이 용어가 우리 전통 회화의 독자성을 고려하지 않고 일제강점기에 타율적으로 붙여진 명칭이라는 비난을 받게 되면서 동양화 대신 ‘한국화’로 부르자는 주장이 크게 대두되었다.


    특히 전통 화가였던 김영기(金永基)는 1971년 「나의 한국화론과 그 비판 · 해설」이라는 글을 통하여, 동양화라는 명칭이 일제강점기 때의 잔재 사상의 표현으로서 자주독립된 민족의식의 주체성이 없으며 민족 예술의 특징을 보일 만한 특성이 없고, 또 서양화에 대하여 대조적으로 말할 때만 써야 할 대칭어이기 때문에 ‘한국화’라는 용어를 사용하여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하였다.


    이 주장은 당시 민족 주체성의 회복과 국적 독립성의 확보라는 시대적 조류와 밀착되어 크게 호응을 받았다. 1982년부터는 문화예술진흥원 주관의 ‘대한민국미술대전’을 비롯한 각종 공모전에서 동양화 공모 부분의 명칭을 공식적으로 한국화로 개칭하였다. 그리고 1983년 개정된 새 미술 교과서에도 동양화 대신 한국화로 표기하게 되었다. 그러나 서양화단에서는 현재 서양화도 한국적 그림으로 정착되어 있는 단계에서 전통 회화만을 통칭하여 한국화로 부르는 것에 반대하고 있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