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7.19

지문 인식은 어떤 원리로 만들어진건가요?

제가 다른사람보다 지문에 많이 연한편이라고 들었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핸드폰이나 이런 지문인식을 할때 인식이 잘 되지 않습니다.

지문인식을 할때 이런 부분까지 고려해서 만들어진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매끈한참고래15
    매끈한참고래1523.07.19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저희 회사에서도 출퇴근 인증을 지문인식으로 하고 있는데..지문이 약한 사람은 해당 고유 비밀번호로 대체하고 있습니다.

    지문인식의 원리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지문의 오목,볼록부분을 인식하여 이미지와 무늬,선명도, 흑백 패턴등을 분석하여 인증하는 방식으로

    개인들이 고유하게 가지고 있는 지문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기술과 알고리즘이 사용된답니다.

    지문 인식 기술은 위 초음파식외에.몇 가지 있는데요...

    광학식,정전용량식,초음파식이 있습니다.

    광학식은..사진을 찍어서 저장된 이미지와 대조하는 방식이구요

    정전용량식은..각 전극별로 정전용량을 비교하여 저장된 최초 용량과 비교하여 인증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입니다.

    마지막으로 초음파식은 지문의 굴곡에 따라 초음파 수신량을 최초 저장된 량과 비교하는 방식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기기마다 차이가 있지만 지문인식 방식은 보통 2가지가 있습니다.

    바로 초음파방식과 광학방식입니다.

    초음파방식은 초음파 신호를 지문에 보낸 후 지문의 융선과 골에서 반사되는 초음파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지문을 파악하는 방식이며, 광학방식은 디스플레이의 광원과 센서를 이용하여 지문의 융선과 골에서 반사되는 빛의 반사량 차이를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입니다.

    액정 위 필름이나 말씀처럼 지문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 지문인식에 오류를 일으킬 수 있는데요, 그나마 초음파 방식이 그런 오류가 적은 편이며, 광학방식이 초음파방식보다 먼저 적용된 방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