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유아교육

충분히미소짓는삼계탕
충분히미소짓는삼계탕

스마트기기가 아이들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요즘 아이들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에 너무 익숙해져 있어서 놀이 방식이나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받는다는 이야기를 많이 듣습니다. 초등 저학년 아이에게 디지털 기기를 언제, 어떻게 접하게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가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스마트기기가 아이들의 사회성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초등 저학년 아이에게 디지털 기기를 접하게 하는 시기는 너무 이르지 않게, 아이의 발달 단계와 생활 습관을 고려해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이 시기의 아이들은 또래와의 놀이, 신체 활동,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성과 감정을 익히기 때문에, 디지털 기기 사용은 제한적이고 목적이 분명해야 합니다. 처음 접할 때는 학습용 콘텐츠나 창의적 활동 중심으로 하루 30분 이내로 시간을 정해두고, 부모가 함께 사용하며 올바른 사용 습관을 길러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기기 사용 후에는 반드시 오프라인 놀이나 대화를 통해 균형을 맞춰야 하며, 기기가 보상이나 위로 수단이 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아이가 스스로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스마트기기가 아이들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적.부정적 영향을 모두 미칠 수 있겠습니다. 과도한 사용은 사회성 저하와 정서문제 등 부정적 영향이 더 크다는

    연구 결과가 많습니다.

    스마트기기의 사회성 영향

    첫째, 과도한 사용 시 사회성 저하: 스마트 기기 사용이 많을 수록 신체 활동 감소, 사회적 상호작용 기회감소,

    집중력 저하 등으로 인해 사회성 발달이 저해 될 수 있습니다.

    둘째, 교육용 앱의 긍정적 효과: 일부 교육용 어플이나 콘텐츠는 어휘력. 독해력 등 학습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으나

    유치원 이상 연령에서 제한적으로만 효과가 있습니다.

    셋째, 부모의 기기 사용도 영향: 부모가 아이 곁에서 스마트폰을 자주 사용하면 아이의 언어.사회성 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부모의 기기 사용도 함께 제한 하는 것이 권장 됩니다.

  • 안녕하세요. 보육교사입니다.

    스마트기기 과사용은 또래와의 실제 상호작용을 줄여 공감 의사소통 능력 발달을 지연시킬 수 있습니다.

    초등 저학년은 하루 30분~1시간 이내, 부모와 함께 사용하는 공동 시청 활동 중심이 바람직합니다.

    시간과 장소 규칙을 정하고, 놀이 대화 등 현실 속 사회 경험을 충분히 병행해야 사회성이 균형 있게 자랍니다.

  • 안녕하세요.

    스마트 기기는 흥미롭고 학습에도 어느 정도 도움이 되지만, 지나친 사용은 또래와의 상호작용이 줄어서 사회성 발달이 늦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나 감정 표현, 차례 지키기, 협동과 같은 사회적 기술은 실제 놀이 속에서 배우는 거라서 화면 중심의 활동으로는 한계가 있어요. 저학년이라면, 하루 30분 이내 부모님이나 교사와 함께 사용하는 공동 사용이 바람직하구요. 교육 앱이나 영상 시청 후에는 대화를 통해 사고와 표현을 이어주시기 바랍니다. 무엇보다도 친구들과 몸으로 노는 경험이 충분히 보장되어야 건강한 사회성이 자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스마트기기사용이 늘면 또래와 직접 부딪히며 놀 시간이 줄어 사회성 발달이 느려질수 있습니다. 초등 저학년은 하루 30-60분 정도, 부모와 함꼐 내용 이야기를 나누며 사용하도록 하고 먼저 친구 놀이, 신체 활동 시간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