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법률

기업·회사

검은누에111
검은누에111

사업자 업종코드 관련 질문드립니다.

국내 여행업을 하는 여행사와 관광버스를 가지고 있는 버스회사 사이에서

중개 알선을 하고 알선수수료를 받는 개인사업을 하려하는데 업종코드를 어떤걸로 해야할까요
525101이나 525101로 하니 해당 코드는 실제 상품을 사고 팔아야 하는 업종코드라고 하면서 반려가 되었어요.

1. 525103 혹은 525104가 해당이 될까요?

  1. 제가 하려는 사업에 어떤 업종 코드를 해야 할까요?

  2. 그리고 위 코드 혹은 적합한 코드로 신청 할 때 별개의 허가가 필요할까요?

  3. 위 질문과 별개로 해외에 존재하는 여행사와 국내에 있는 여행사 간 중개를 하는 경우 741400 코드로 신청해도 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성표 변호사입니다.

    국내 여행업과 관광버스 회사 간의 중개 알선 사업을 위한 적합한 업종 코드를 찾는 것은 중요합니다. 아래에서 제안하는 업종 코드와 관련된 사항을 설명드리겠습니다.

    1. 적합한 업종 코드
    • ​525103 (기타 상품 중개업)​: 이 코드는 일반적으로 특정 상품의 중개를 의미하며, 여행사와 버스 회사 간의 중개 알선에도 적용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 상품의 매매가 아닌 서비스 중개라는 점에서 적합성을 확인해야 합니다.

    • ​525104 (기타 서비스 중개업)​: 이 코드는 서비스의 중개를 의미하며, 여행사와 버스 회사 간의 서비스 중개에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코드를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2. 별도의 허가 필요 여부
    • ​중개업 허가​: 일반적으로 중개업을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허가가 필요하지 않지만, 특정 업종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부동산 중개업의 경우 공인중개사 자격이 필요합니다. 여행업과 관련된 중개라면, 관련 법령을 확인하여 별도의 허가가 필요한지 검토해야 합니다.

    3. 해외 여행사와의 중개
    • ​741400 (기타 사업 지원 서비스업)​: 이 코드는 일반적으로 사업 지원 서비스에 해당하며, 해외 여행사와 국내 여행사 간의 중개에도 적용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구체적인 사업 내용에 따라 적합성을 확인해야 합니다.

    추가 고려사항
    • ​사업자등록​: 사업자등록 시 업종 코드를 선택할 때, 사업의 실제 내용과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세무서나 관련 기관에 문의하여 정확한 업종 코드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 ​법률적 검토​: 사업의 성격에 따라 관련 법령을 검토하여 필요한 허가나 등록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와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 적합한 업종 코드를 선택하고, 필요한 절차를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추가적인 법률적 조언이 필요하다면 관련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