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과는 왜 깎아놓음 색이 변하나요
다른 깎아서 두어도 색이 잘 변하지 않은데 왜 사과만 시간이 지나면 색이 어둡게 변화되나요 초등학생 아들이 아침어 사과 먹으면서 질문하는데 저도 갑자기 궁금하네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과학전문가입니다.
과일의 껍질을 벗겼을때 갈변하는 것은 과일에 함유된 폴리페놀 산화효소가 분비 되면서 과일의 폴리페놀과 공기중의 산소가 반응하여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갈변을 방지 하려면, 레몬즙 희석물, 탄산수,설탕물,꿀물등에 10정도 담가놓으면 갈변 현상이 사라집니다.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
사과의 카테킨, 갈릭산 등 폴리페놀이라 불리는 물질과 공기중의 산소가 만나 산화반응이 일어나서 그렇답니다!
건강에는 크게 문제 없으니 드셔도 되나, 깍고 바로 다 드시는걸 추천드려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과일의 껍질을 벗겨낼 경우 폴리페놀산화 효소가 분비되면서 폴리페놀과 산소의 반응을 촉진하고, 폴리페놀 성분들을 퀴논 같은 물질로 산화시킵니다. 이렇게 생긴 퀴논은 활성도가 커서 빠르게 산화되는데, 이 때 갈색 물질을 생성합니다. 이를 갈변이라고하죠. 갈변된 부분을 잘라내고 먹는것이 좋습니다. 갈변된 부분을 먹을시 체내에서 활성산소가 생성됩니다. 활성산소는 피부 노화를 촉진하므로 좋지 않습니다.
갈변하는 과일은 사과, 복숭아, 배, 바나나 등이 있습니다.
- 채소나 과일이 갈변하는 것은 공기 중의 산소와 접촉하기 때문입니다.
산소는 반응성이 큰 기체이기 때문에 채소나 과일과 만나 산화 반응하게 됩니다.
특히 사과나 바나나 같이 폴리페놀과 폴리페놀산화효소를 포함하는 과일들은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하기 쉬워 갈변하기 쉽습니다.
갈변된 부분은 체내에서 활성산소가 많이 생성되므로 먹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사과껍질을 깍으면 Polyphenol oxydase라는 효소가 분비되고 산소와 반응하여 폴리페놀을 산화시켜 갈색물질을 만들어내는 갈변현상이 일어납니다. 일부영양소가 파괴되기는 하지만 드셔고 건강에는 문제없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