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상담
전혈 헌혈의 주기를 8주로 정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나이
50
성별
남성
헌혈에 관해서 조사를 하다보니 전혈 헌혈의 경우 한 번 하고나서 최소 8주가 지나야 다시 헌혛을 할 수 있다고하는데요, 전혈 헌혈의 주기를 8주로 정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병관 의사입니다.
8주로 정해진 정확한 이유는 모르겠네요,, 헌혈하는 입장에서 지속적으로 헌혈해도 건강에 무리가 가지 않을 시점을 8주로 잡은것 같은데,, 적혈구는 보통 수명이 120일 정도 된다고 합니다. 즉, 60일 정도면 전체 혈액의 절반정도가 다시 생성될 시기라서 그정도로 잡지 않았을까합니다.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전혈 헌혈 시, 일정량의 적혈구와 다른 혈액 성분이 몸에서 제거됩니다. 이때 체내에서는 적혈구와 다른 혈액 성분들을 재생산해야 하며, 이 과정에는 일정 시간이 소요됩니다. 적혈구의 생산과 회복을 위해 필요한 시간을 고려할 때, 일반적으로 약 8주가 적절한 회복 기간으로 여겨집니다. 이 기간 동안 몸은 헌혈로 인해 감소된 적혈구를 비롯한 혈액 성분들을 충분히 회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철분 등의 영양소 수준도 이 기간 동안 정상 범위로 회복될 수 있습니다.
즉 결론적으로 적혈구가 새로 생성되는 기간, 적혈구의 life cycle 이 2달정도 이기 때문에 그 최소간격을 두고 헌혈을 하도록 권장되는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추가적 질문이 있으시다면 댓글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