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청렴한치타291
청렴한치타291

일본에서 애니메이션 포켓몬을 보다가 집단 실신 사건이 발생했다는데 원인이 뭔가요?

일본에서

티비 프로그램으로 방영되는 방송을 보다가

어린이들이 집단으로 실신한 사건이 있었다고 들었습니다.

대략적으로

1997년 경

일본 TV 애니메이션

포켓몬스터 방송도중에

약 7백명 이상이나 되는 어린이들이

집단으로 발작이나 실신을 일으킨

TV 집단 실신 사건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극 중에 미사일을 피카츄가 전기공격으로 파괴하는 장면이었다는데

이렇게 방송을 보면서 사람이 발작이나 실신이 가능한가요?

이 집단 실신 사건의 실질적인 근거는

어떻게 밝혀 졌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1997년 포켓몬 실신 사건은 화면의 강한 빨강, 파랑 점멸 효과가 원인으로 추정이 사례인데요

    조사 결과 실제로는 600 여면이 증상을 보였다고 뉴스가 있네요

    이후 일분 방송은 영상 점멸 규제를 강화했다고해요

  • 원인은 '광과민성 발작'으로 밝혀졌습니다.

    해당 발작 사건이 일어난 에피소드에서 강렬한 적색과 청색의 섬광이 연속적으로 사용되었는데, 특히 백신 프로그램이 폭발하는 장면에서는 1초당 12회씩 4.5초간, 총 106컷에 걸쳐 강한 빛의 점멸 효과가 나왔습니다.

    이러한 급격하면서도 반복적인 빛의 점멸이 일부 시청자의 뇌에 과부하를 일으켜, 광과민성 증후군을 유발한 것입니다.

    당시 이 에피소드를 보던 700여 명의 어린이들이 구토니 두통, 어지럼증, 심지어 발작 증세를 보이며 병원으로 후송되었고, 이 중 135명이 입원했습니다.

    이러한 내용은 정부와 방송사, 제작사가 사건의 원인 규명을 위해 의료 전문가와 과학자들로 구성된 조사팀을 만들었고 해당 조사팀에 의해 밝혀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네, 말씀해주신 말씀하신 사건은 실제로 있었던 유명한 사례로, 1997년 12월 16일 일본에서 방영된 포켓몬스터 TV 애니메이션 에피소드에서 발생했다고 하는데요 당시 방송을 보던 어린이 약 700여 명이 두통, 구토, 어지럼증, 실신, 발작 등을 호소하며 병원으로 이송되었고, 그 중 일부는 간질 발작과 유사한 증상을 보였습니다. 문제 장면은 피카츄가 미사일을 전기 공격으로 폭파시키는 장면이었는데, 이때 강한 빨강과 파랑의 섬광이 초당 약 12번 이상 깜박이는 효과가 사용되었고, 이런 시각 자극은 광과민성 발작을 유발할 수 있는데, 특히 어린이와 청소년에서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 실제로 환자 중 일부는 이전에 간질을 진단받은 적이 없었지만, 뇌가 깜빡이는 빛 자극에 민감하여 발작이 촉발된 것으로 해석되었습니다. 집단발작의 요인에 대해 생각해보자면, 의학 조사 결과, 다수의 아이들이 ‘광과민성 발작’ 반응을 보인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특정 파장의 강한 빛이 빠르게 반복되면 망막과 시각 피질이 과도하게 흥분하고, 일부 뇌에서는 신경 발작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또한 실제로 뇌전증성 발작을 한 아이들도 있었지만, 상당수는 단순한 두통, 구토, 어지럼증, 불안 증상 등이었고 이는 집단 심인성 반응으로 설명됩니다. 즉, TV 뉴스에서 사건이 크게 보도되자 “나도 아픈 것 같다”라는 식으로 증상이 확산된 경우도 많았습니다. 따라서 빛의 깜박임으로 인한 신경학적 발작(광과민성 간질)과 집단 심리적 반응이 결합된 사례로 볼 수 있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청 중 발생한 집단 발작 사건의 원인은 '광과민성 발작'으로 밝혀졌습니다. 이 사건은 1997년 12월 16일 일본 TV 도쿄에서 방영된 '포켓몬스터' 38화 '전사 폴리곤' 편에서 발생했습니다. 해당 애니메이션의 특정 장면에서 사용된 강렬하고 빠른 빨간색과 파란색의 섬광이 어린이 시청자들에게 광과민성 간질 발작을 유발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광과민성 발작은 강한 빛의 섬광, 특히 명암이 교차하는 패턴에 의해 뇌 신경이 과도하게 자극되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 사건 이후 일본 방송국들은 애니메이션 제작 및 송출 시 빛의 깜빡임 속도와 밝기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강화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