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일 현상이 어떻게해서 벌어지는 현상인가요?
유투브에서 환일 현상이라는 것을 처음 알았고 처음 봤는데 태양 주면에 빛으로 된 고리가 만들어져 있더라구요.
찾아보니까 한국에서도 환일 현상이 나타난 적이 있는데 환일 현상은 어떤 원리로 나타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당신이 언급하고 있는 태양 현상은
태양 고리 또는 태양 후광이라고 불립니다.
햇빛이 지구 대기의 얼음 결정을
통과하여 태양 주위에 빛의 고리를
만들 때 발생하는 희귀하고 아름다운 광학 현상입니다.
태양 고리 현상의 원리는 얼음 결정을
통한 빛의 굴절입니다.
햇빛이 지구 대기에 들어올 때
이 얼음 결정은 프리즘 역할을 하여
햇빛을 여러 방향으로 구부리고 굴절시킵니다.
햇빛이 얼음 결정을 통과하면 태양 주위에 빛의
고리가 생성되는데 이를 태양 고리 또는
태양 후광이라고 합니다.
고리는 햇빛이 얼음 결정을 통해
특정 각도로 굴절되어 태양 주위에
빛의 원형 호를 만들 때 형성됩니다.
태양 고리의 크기와 모양은 얼음 결정의 크기와
모양 햇빛의 각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어떤 경우에는 태양 고리가 밝은 원호로
나타날 수도 있고 다른 경우에는 더 희미하고
확산된 고리로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태양 고리는 그것을 생성하는 데 필요한
조건이 매우 구체적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드뭅니다.
태양광을 올바른 방식으로 굴절시키려면
얼음 결정이 올바른 고도와 방향에 있어야 하며
고리가 보이려면 태양이
하늘에서 낮은 각도에 있어야 합니다.
태양 고리 현상은 지구 대기의
얼음 결정을 통해 햇빛이 굴절되어
태양 주위에 빛의 고리가 생성되는 현상입니다.
얼음 결정의 크기와 모양
햇빛의 각도에 따라 고리의 크기와
모양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태양 고리는 그것을 생성하는 데
필요한 조건이 매우 구체적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드뭅니다.
태양 고리는 달이 지구와 태양 사이를
직접 지나갈 때 발생하여 태양의 빛을
차단하고 낮 동안 일시적인
밤을 만드는 일식과 동일하지 않다는 점은
주목할 가치가 있습니다.
일식은 태양 고리보다 훨씬 더 드물며
지구 표면의 특정 경로에서만 볼 수 있습니다.
태양 고리 현상은 햇빛이 지구 대기의
얼음 결정을 통과하여 태양 주위에 빛의
고리를 만들 때 발생하는 아름답고
희귀한 광학 현상입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환일 현상은 높은 고도의 육각판 모양 얼음 결정이 태양빛을 굴절시켜 나타나는 대기 광학 현상입니다. 마치 프리즘을 통과하는 빛처럼 굴절되어 태양 양쪽에 가짜 태양이 보이는 것이죠.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기본적으로 하늘에서 구름 중에 새털구름, 면사포 구름처럼 얇은 구름이 있죠. 그런 구름이 5km 이상 고층에서 뜨는데 그런 구름이 온도가 낮아지면 얼음, 빙정이 생겨요. 육각형 모양의 얼음 결정들이 생기는데 이런 얼음이 무게가 있으니까 수평 방향으로 모입니다. 거기에 햇빛이 들어가서 굴절되고 반사되면서 태양의 양옆으로 반사돼서 그 빛이 태양 양옆으로 모여서 가짜 태양을 만드는 거거든요. 그래서 기본적으로 온도가 낮고 아주 높은 대기의 새털구름 같은 얇은 구름층에 이런 얼음 결정들이 생기면 그때 환일현상이 일어날 수 있는 조건이 만들어지는 건데 항상 생기는 건 아니지만, 태양 양쪽으로 22도 정도, 하늘이 180도니까, 22도 정도 떨어진 곳에 2개의 가짜 태양이 나란히 생깁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 주변에 빛으로 된 고리가 만들어지는 환일 현상은 주로 대기 중의 얼음 결정이나 물방울에 의해 발생합니다. 태양광이 이러한 입자들을 통과할 때 굴절, 반사, 굴절 등의 현상이 발생하여 환일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때, 빛의 파장에 따라 다양한 색상의 환일이 관측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