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대출

파라오
파라오

은행 기준금리 인상 이게 말이 되나요??

지난 22년 1월 전세대출(xx전세론)

3.69%로 받았는데


7월쯤 금리 인상으로 4.12%가 되었습니다


이번 2023년 1월 11일 기준 4.12%로 이자 납부했구요


그런데 오늘 문자가 와서는


기준금리 인상으로 6.48%가 되었다고 하네요??


갑자기?? 이게 말이 되나요??


요즘 은행들도 금리 낮춘다고 그러던데...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최근 신용대출 등 대부분의 금융상품 금리가 인하되고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 전세대출 금리가 갑자기 200bp 오른건 특이한 경우가 맞습니다.

      • 은행과 상품별로 특이점이 상이하기 때문에 해당 은행에 경위를 물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 또한 전세대출의 경우 대환대출로 저금리 상품으로 대출을 옮기는 것도 가능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마 해당 은행에서 6개월 동안 눈치 보다가 대출 금리 올리지 않다가 그간의 인상된 금리를 한꺼번에 반영한 듯합니다.

      5% 초반대가 평균인데 6.5%의 금리는 너무 높은 듯합니다. 중도상환 수수료 부담이 크지 않다면 상대적으로 저렴한 인터넷 전용 은행 등으로 대환 진행을 권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갑자기 너무 올랐네요. 6.48% 부담이 크시겠습니다.

      은행마다 조금씩 다르고 금리를 낮추는 것은 일시적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대출상환율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죠.

      대략적으로 금융위 제재가 조금 있고,

      자기네들이 한국은행에서 빌려서와서 갚아야할 시기에 대출상환율이 좋지 않아서 부채가 늘어나니

      금리를 내려 빨리 갚도록 유도 하는 것이고

      그렇지 않는 때에는 굳이 내릴 필요없으니 기준금리 상승 명목으로 더 받는다고 보시면 됩니다.

      은행도 이윤을 목적으로 하는 사기업이라 머리 쓰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인상은 서민들에게 고통을 더하는알이지만 미국과의 금리차가 커지게되면 금융시장에 자금이 대량 유출되고 환율상승으로 이어져 수출로 먹고사는 나라경제를 흔들게될수있고 외환보유고 감소는 또 제2의 imf로 이어져 대외신뢰도하락의 쓴맛을 겪을수있기에 정부에선 쉽게 금리하락으로 방향으로 잡을수없는 일 입니다.물가상승 고금리 서민들은 힘들어질수있어서 안타깝지만 마냥 한방향으론 가진 않겠죠.힘들었던만큼 살기좋은날도 올거라 믿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