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상냥한참매162
상냥한참매162

ESP가 마이나스라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요?

기업 재무재표를 보다가 ESP가 -7.81이라고 나와있더라고요... 의료AI관련된 기업인데 마이너스라는 것은 현재 기업이 어떤 상태라는 것을 의미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EPS는 기업이 벌어들인 순이익을 발행 주식 수로 나눈 값으로 주당 이익 또는 손실을 나타냅니다. EPS가 -7.81이라면 해당 기업은 주당 7.81원의 순손실을 내고 있다는 의미로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ESP는 일반적으로 EPS, 즉 주당순이익을 잘못 기재했거나 줄여서 표현한 것일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EPS는 당기순이익을 발행 주식수로 나눈 값으로, 기업이 벌어들인 순이익을 한 주당 얼마만큼 분배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쉽게 말해, 기업이 주주들을 위해 얼마나 돈을 벌었는지를 보여주는 가장 중요한 수익성 지표 중 하나입니다. 가장 직접적인 의미는 해당 회사가 보고 기간 동안 순이익을 내지 못하고 손실을 기록했다는 뜻입니다. 순이익이 마이너스이므로, 이를 발행 주식수로 나누면 EPS도 마이너스가 됩니다. 즉, 기업의 수익성이 좋지 않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의료 AI 기업의 EPS가 마이너스라는 것은 현재로서는 수익을 내지 못하고 적자 상태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ESP가 아닌 EPS 인것이죠? EPS는 "주당 순이익" (Earnings Per Share)이라고 해서, 기업의 순이익을 발행된 주식 수로 나눈 값입니다. EPS가 마이너스인 경우, 기업이 순손실을 기록했다는 것이고 기업의 수익성이 낮거나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EPS(주당순이익, Earnigns Per Share)가 마이너스라는 것은 기업이 일정 기간 동안 벌어들인 순이익이 음수, 즉 적자을 기록했가는 의미입니다. 이는 주주 1주당 손실이 발생했다는 뜻으로, 기업의 경영 성과가 부진하거나 일시적으로 비용이 수익보다 많을 때 나타납니다. EPS가 마이너스인 기업은 투자 위험이 높아질수 있으니 신중한 판단이 필요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EPS가 마이너스라는 건 기업이 이익을 내지 못하고 순손실을 기록중이라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아직 사업초기, 적자 국조, R&D 투자 과다 등 다양한 사유가 있을 수 있으며, 장기적인 성장성도 함께 고려되어야 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ESP라는 말은 없으며 EPS를 말하는것 같습니다 EPS는 Earning Per Share의 약자로서 주당순이익입니다 즉 주식 하나당 기업의 순이익을 말하며 연간 순이익에서 현재 유통주식수를 나누며 나오게 되는 숫자입니다.

    즉 마이너스라는 말은 유통주식수는 항상 +이며 -가 나오는 부분은 기업의 적자가 나올때 순이익이 아니라 적자가 발생하게 되며 이때 EPS도 -값이 나오게 되는것입니다.

    즉 해당기업은 기업의 이익이 적자인 상태라는것이며 이런기업은 EPS로서 밸류에이션이 불가능하며 해당 기업은 순자산으로 보거나 매출액은 기준으로 밸류에이션을 하는게 일반적입니다

    1명 평가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ESP가 마이너스(-7.81)라는 것은 일반적으로 ‘Earnings per Share(주당순이익, EPS)’가 음수라는 뜻입니다. 즉, 이 기업이 최근 일정 기간 동안 벌어들인 순이익이 적자가 났다는 의미로, 한 주당 -7.81만큼의 손실이 발생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특히 의료 AI와 같은 신기술 분야 기업들은 연구개발(R&D)과 초기 투자 비용이 많아, 성장 단계에서 일시적으로 적자를 기록하는 경우가 흔합니다. 마이너스 EPS가 있다고 해서 무조건 위험한 기업이라는 의미는 아니지만, 현재는 이익을 내지 못하고 있다는 신호이므로 재무 건전성, 향후 성장성, 자금 조달 능력 등을 함께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신약 개발이나 AI 솔루션 개발 기업들은 상용화 전까지 적자를 감수하며 미래의 수익을 기대하는 경우가 많으니, 단순히 마이너스 EPS만 보고 판단하기보다는 전체적인 사업 구조와 성장 가능성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EPS가 마이너스의 의미에 대한 내용입니다.

    EPS는 주당 순이익으로 이 수치가 마이너스라는 것은

    기업이 적자를 기록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ESP는 주당순이익을 의미합니다.

    순이익/총 주식수로 계산이 되며 주당 얼마의 이익을 벌었는지 알 수 있는 지표입니다.

    마이너스라는 것은 1주당 7.81원의 손실을 발생했다는 것으로 적자라는 의미입니다.

    다만 적자가 일시적일 수 있거나 의료 AI 개발 투자 등 고정비 지출이 컸을 가능성이 있어 일시적인 마이너스로 기업의 상황을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아직 투자에 대한 매출 본격화가 이뤄지지 않았을 가능성이 큽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