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개월아이가 짜증을 많이내는데 왜그럴까요?
안녕하세요 전문가님 26개월딸아이를 키우고있는
육아대디입니다 다름이아니라 의사소통이 잘되지않은상태에서 짜증을 내는데 무엇을원하는지 무엇을
바라는지 잘 모르겠고 마트나 사람 많은곳가면
짜증부터내는데 어떻게하면 되는지도궁금하고
무작정 냅두기만 하면되는지 아니면 달래줘야하는지도알고 싶습니다 도와주세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짜증을 많이 내는 것도 타고난 성향이나 기질 일수 있지만 아이가 자신이 원하는 것을
쉽게 얻기 위해 일종에 때 쓰기 라고 할수도 있어요
아이가 말을 하지 못하는 시기에는 부모님들이 알아서 아이가 필요한 것을 해결 해주곤 합니다
아이가 자라 말을 할수 있는 시기가 되면 부모님들이 알아서 해주기 보다 아이가 말을 통해
소통할 수 있도록 유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짜증을 낸다면 아이에게 짜증을 내고 있어 너가 하는 말을 잘 알아 들을수 없다고
이야기 하고 짜증을 내지 않고 말을 한다면 엄마 아빠가 너의 말을 알아 들을수 있고
너가 원하는 것도 들어 줄수 있다고 이야기 하고
아이가 평정심을 가지고 말을 할수 있도록 교육 하는 것이 좋습니다
한번 잘 되었다가 금방 무너지는 것이 아이들 입니다
인내심을 가지고 반복적으로 교육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때 부모님들도 평정심을 유지 하고 아이들에게 교육 하는 것이 좋습니다
화를 내거나 짜증을 내게 되면 교육이 어렵 습니다
1명 평가26개월 아이가 짜증을 부리니 걱정이 되는 것 같습니다.
이 시기 아이가 짜증을 내는 이유를 살펴보면
감정 조절 능력 부족, 언어 표현의 한계, 환경 스트레스, 예측 불가능한 상황 등입니다.
양육자는 무작정 놔두기보다는 감정을 인정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많이 시끄러워서 답답했구나”, “지금 기분이 안 좋은 거구나”
말 대신 선택지를 주는 것도 필요합니다.“이거 먹을래? 아니면 이거?”
마트나 외출 전에는 미리 예고를 하는 것이 좋고감정이 폭발했을 때는 달래고 조용한 곳으로 데려가서 진정할 시간을 주는 것도 좋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26개월 아이가 짜증을 많이 내는 건 발달 단계상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이시기 아이는 말로 감정을 충분히 표현하기 어렵고, 자기 주장, 독립성이 강해지면서 좌절감이 생기면 짜증으로 나타납니다. 마트처럼 자극이 많은 환경에서는 과부하로 인한 반응일수 있습니다. 무작정 방치보다 아이 감정을 인정해주고 간단히 선택권 주기, 안전하게 달래주기가 좋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개월 수가 어리면 언어로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전달하는 것이 미숙하기에
언어보다는 행동으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기도 합니다.
감정의 표현의 수단으로는 떼,울음.짜증, 화, 소리지르기, 물건 던지기 등이 있습니다.
현재 아이가 26개월 이라면 언어로 자신의 감정을 전달하지 못할 뿐이지 엄마.아빠의 말은 다 알아듣습니다.
그렇기에 아이가 짜증을 내면 그 즉시 아이의 행동을 제지하고 아이를 사람들이 보이지 않는 공간으로 데리고 가서
아이의 손을 잡고 아이의 눈을 마주치며 단호함으로 짜증을 내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전달한 후, 왜 짜증을 내는 행동이 옳지 않은지 그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잘 알려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리고, 아이의 시선으로 아이의 마음을 이해하고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감정을 돌보는 부분도 중요시
해야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석제 보육교사입니다.
말을 잘못하면 짜증부터 낼수있어요 언어가 잘발달하면 자연히 짜증은 줄어들고 말로 표현하는게 늘어날겁니다.
안녕하세요.
26개월 아이는 말이 서툴러서 감정이나 욕구를 표현하기 어려워 짜증으로 드러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나 마트처럼 시끄럽고 낯선 환경은 아이에게 스트레스를 주거나, 과자 등 자극적인 욕구를 유발해 짜증을 키울 수 있어요. 아이의 감정을 먼저 인정해 주고 공감해 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이가 예측할 수 있도록 "마트 가서 이거 사고 금방 올 거야." 등처럼 미리 사전 설명을 하는 것도 도움이 되구요.
아이의 짜증은 성장 과정의 일부이므로, 차분하게 대응하면서 소통 능력을 키워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