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주식을 할때 현금비중을 어느정도 유지하는게 좋을까요?
저는 코인이랑 주식을 둘 다하고 있는데 현금비중이 거의없이 적립식 투자를하고 있습니다 주위에서 그러면 안된다고 조언을 해주시는데 현금비중을 저의 투자금대비 어느정도 해주는게 안정적일까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이건 진짜 개인 취향입니다. 아시다시피 근데 보통 시장은 내가 생각한대로 안 흐르기 때문에 현금이 있었으면 하는때가 꼭 오곤 합니다.
저는 지금 처럼 월급같은 현금흐름이 있고 정기적으로 투자에 쓸수 있다면 굳이 현금이 꼭 있을 필요는 없다고 생각하는데요.
기회가 올때 잡는다는 용도로 현금을 가지고 있는걸 하나의 포트폴리오로 생각한다면 한 10-20프로 괜찮지 않나 싶습니다.
코인이든 주식이든 최고의 순간을 놓치면 수익률이 확떨어집니다. 자신있는 종목이 있다면 현금을 투입해놓는게 낫다고 생각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 투자에서 현금 비중을 유지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가이드라인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보수적 투자자:
보수적인 투자자는 변동성을 줄이고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현금 비중을 높게 유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경우 20~40% 정도의 현금 비중을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적극적 투자자:
적극적인 투자자는 시장의 상승 기회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현금 비중을 낮게 유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5~15% 정도의 현금 비중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는 주로 비상 상황이나 단기적인 기회를 잡기 위해 준비하는 자금입니다.
시장 상황에 따른 조정:
시장이 과열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현금 비중을 높여 리스크를 줄이고, 반대로 시장이 저평가되었다고 생각되면 현금 비중을 낮추어 주식 비중을 높이는 전략을 취할 수 있습니다.
개인적인 재정 상황:
개인의 재정 상황에 따라 비상금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일정 비중의 현금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요즘과 같이 등락이 반복될 때는 현금비중을 올려서 언제든 대응이 가능하게 세팅해야 합니다
따라서 50% 정도 보유하는 것을 추천드리고 향후 방향이 결정된다고 볼 때 현금을 주식으로 투자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현재는 상승 추세에 있는 만큼 2700선을 올라오게 되면 현금을 주식으로 투자하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보통 주식을 하실 때 현금 비중 유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코인, 주식 투자하실 때에 다른 것들도 중요하지만 현금 비율도 중요합니다.
최소 70대 30 정도로 현금을 유지해주셔야지 긴급 상황에 대비할 수 있을 것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적립식 투자를 하고 있으시다면 현금비중은 크게 의미없을거 같아요 적립식으로 장기투자는 저라면 현금비중 신경안쓰고 얼마나 오랫동안 하느냐에 중점을 두긴할거 같습니다 풀 시드로 매매하시는 분들은 현금비중이 중요하고 적어도 20-30프로는 현금 가지고 있어야 낙폭과대시 대응이 되는거 같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정답은 없는 문제입니다만
보통 안정적인 투자 성향을 보이는 분들과 같은 경우
대략 주식에 60%, 안전자산에 40% 정도를 투자하기에
현금 또는 채권 등 안전자산에 40% 정도를 보유하시는 것이
좋지 않나 싶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적립식 투자를 꾸준히 월마다 하는 것이라면 꼭 현금비중이 필요한 것은 아닐 것 같습니다.
현금비중을 보유하는 이유는 하락장에 들어섰을 때, 충분한 추가매수를 하기 위함인데
하락장과 상승장 무관하게 동일 수량을 꾸준히 매수할 예정이시라면 꼭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만약 그럼에도 하락장 시에는 추가적으로 매수를 더 하고자 하신다면 필요하신데,
그때는 30%정도를 일반적으로 권장하고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10-30%의 현금 비중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개인의 상황에 맞춰 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정답은 없습니다만, 결국 리스크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느냐? 수익성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느냐?의 차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다만, 현금 보유 비중이 높으면 높을수록 그만큼 하락장에서 더 안정감을 유지할 수 있는 건 확실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현금 비중을 적절히 유지하는 것은 투자 포트폴리오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투자자들은 전체 투자 자산의 10%~ 30%를 현금으로 유지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이 현금은 시장이 하락할 때 기회를 잡기 위해 사용하거나 예기치 않은 경제적 상황에 대비하기 위한 안전망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현금 비중은 개인의 위험 감수 성향, 투자 목표, 시장 상황에 따라 조정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전문가의 조언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황태현 경제전문가입니다.
현금을 어느 정도 유지하는 게 중요한 이유는 기회가 왔을 때 바로 잡을 수 있고, 시장이 흔들릴 때 마음의 여유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에요. 주식과 코인에 동시에 투자하시는 상황이라면, 각 시장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현금 비중을 조절하는 게 좋아요. 예를 들어, 주식 시장이 불안할 때는 현금을 조금 더 가지고 있고, 코인이 잘 나갈 때는 그쪽에 집중하는 식이죠.
지금 적립식 투자를 하면서 현금 비중이 거의 없다고 하셨는데, 매달 조금씩 현금을 모아서 비중을 10~20% 정도로 유지해보는 건 어떨까요? 이렇게 하면 투자할 때 더 안정적이고, 마음도 편안할 거예요.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과 코인 투자에서 현금 비중을 어느 정도 유지할지는 개인의 투자 성향과 시장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투자 포트폴리오에서 일정 비율의 현금을 보유하는 것은 시장의 변동성에 대비하고, 기회를 포착하기 위한 유연성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많은 투자 전문가들은 전체 포트폴리오의 10%에서 20% 정도를 현금으로 보유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이는 시장이 급격히 하락할 때 손실을 완화하고, 새로운 투자 기회를 잡을 수 있는 여지를 마련해 줍니다. 또한, 개인의 재정 상황과 위험 감수 능력에 따라 현금 비중을 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적립식 투자 방식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유리할 수 있지만, 시장의 변동성에 대비하기 위해 어느 정도의 현금을 보유하는 것도 고려해 볼 만합니다. 현금 비중을 적절히 유지하면, 예상치 못한 시장 상황에서도 보다 안정적으로 투자할 수 있습니다. 개인의 목표와 상황에 맞춰 현금 비중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전문가입니다.
사실 정해진 기준이 없고 몰빵투자가 아니라 적립식 투자라면 현금비중 없이 투자하는 것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보통 전문가들은 최소 10%정도의 현금비중은 두어야 경제위기때 위력을 발휘할 수 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