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엑스레이가 우리몸을 투영하면서 이루어지는데 어떤원리로 작동하나요?

성별
여성
나이대
35

병원 진찰을 받거나 치료를 받을 때 거의 필수적으로 받는 엑스레이 검사에선

엑스레이가 우리몸을 투영하면서 어떤 작동원리로 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상우 치과의사
    안상우 치과의사
    목동안치과의원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방사선은 엑스레이로 우리 몸을 투과하는 광선입니다 우리의 몸을 투과를 하지만 몸의 밀도나 구조에 따라서 투과되는 정도가 다르게 됩니다 이런 원리를 이용해서 추가된 방사선 양을 필름에 인화시키고 명도 차이를 통해서 조직의 구조를 파악하게 됩니다

  • X-ray 검사는 인체에 X선을 투과시켜 내부의 구조를 확인할 수 있으며

    • X선 발생 장치: 인체를 투과할 수 있는 X선을 발생시킵니다.

    • 인체 투과: X선이 인체를 투과합니다.

    • 필름 또는 검출기: X선이 인체를 투과하면서 발생한 영상을 필름이나 검출기에 기록합니다.

    • 영상 확인: 필름이나 검출기에 기록된 영상을 통해 인체 내부의 구조를 확인합니다.

    즉 전자의 움직임으로 x선이 발생하고 이 발생된 x선을 인체에 투과시켜서 필름이나 검출기로 투영시키는 검사입니다

  • X선은 뢴트겐이라는 사람이 우연히 아내의 손에 X 선을 조사한 후에 이 파가 신체를 통과한다는 것을 발견하고 나서 발견된 검사법입니다. 아래 사진이 뢴트겐이 아내의 손을 찍은 사진입니다.

    신체 구조마다 X-선이 통과되는 정도가 달라져서 그 차이를 통해 저희가 신체 내부에 있는 구조물들을 볼 수 있는 원리이빈다.

    주로 골절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찍는다거나 폐에 염증이 생기면 공기만 차있는 빈 폐와 달리 하얗게 변하는데 이런 변화들을 이용해서 검사를 하게됩니다.

  • X-ray는 매우 짧은 파장을 가진 전자기파로, 인체를 투과할 수 있는 성질이 있습니다. X-ray 튜브에서 발생한 X-ray는 인체를 통과하면서 조직의 밀도와 두께에 따라 흡수되는 정도가 달라집니다. 뼈와 같이 밀도가 높은 조직은 X-ray를 많이 흡수하여 필름에 하얗게 나타나고, 공기로 차있는 폐는 X-ray를 잘 통과시켜 필름에 검게 보이게 됩니다.

    이처럼 X-ray는 조직의 밀도 차이를 이용하여 인체 내부 장기의 모습을 영상화합니다. 요즘은 필름 대신 디지털 검출기를 사용하여 영상을 만들고, 컴퓨터로 처리 및 저장합니다. X-ray 검사는 비침습적이고 빠르게 시행할 수 있어 가장 기본적인 영상 검사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답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 조언으로 건강관리에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만약 그렇다면 추천 버튼을 눌러주시면 앞으로도 이런 건강 상담을 지속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엑스레이는 고에너지 전자기파의 일종으로, 투과력이 강하여 인체를 통과할 수 있습니다. 엑스레이 기계는 X선을 발생시키기 위해 X선관을 사용합니다. X선관 내부에는 전자총과 타깃이 있으며,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가 고속으로 타깃에 충돌하면 X선이 방출됩니다.

    엑스레이 기계에서 발생한 X선은 인체를 통과하며, 통과 과정에서 조직 밀도에 따라 다르게 흡수됩니다. 뼈와 같이 밀도가 높은 조직은 많은 양의 X선을 흡수하여 흰색으로 나타나고, 근육이나 지방과 같은 밀도가 낮은 조직은 X선을 덜 흡수하여 회색으로, 공기처럼 밀도가 매우 낮은 부분은 X선을 거의 흡수하지 않아 검은색으로 나타납니다. 이러한 차이는 X선이 인체를 투과하면서 생성된 그림자를 필름이나 디지털 검출기에서 감지하여 이미지를 형성하게 됩니다.

  • 엑스레이 검사는 전자파를 금속원소 타깃과 충돌시켜 방사선을 얻게 되며, 빛에 투과되지 않는 물체도 방사선은 투과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인체 내부의 영상을 얻을수 있습니다.

    궁금증 해소에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도움이 되신 경우 '👍 ' 눌러주길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