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이비인후과

듬직한재규어270
듬직한재규어270

뇌졸중시 강직이 일어나는 이유?

뇌졸중이 걸리면서 강직이 있는데요.

왜 뇌졸중이 걸리면 강직이 일어날까요?

강직이 생기지 않기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할까요?

하품 같은걸 할때 왜 아픈쪽에 갑자기 한번에 강직이 일어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권준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근경직(spasticity)을 말씀 하시는 것 같습니다.

      이는 상부신경원이라고 일컫는 뇌나, 척수손상이 있을 때 발생하게 됩니다. 쉽게 이야기 하면 뇌와 척수에서 근육을 조절하는 능력을 잃어버립니다. 근육을 조절 하려면 힘을 주게 하는 신호 외에도 힘을 빼게 하는 신호도 나와야 하는데, 이 중 힘을 빼게 해는 신호가 끊긴 상태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근경직은 결국 뇌 손상 상태에 의해 발생여부가 대부분 결정 됩니다만 그나마 줄이기 위해서 항경직약물과 스트레칭, 필요하다면 보톡스 치료 등을 실시 하게 됩니다.

      온몸에 힘이 들어가는 행동을 할 때 근경직은 더 심해집니다. 하품을 하면 온몸에, 걸으면 팔쪽도 같이 근경직도가 올라오게 되죠.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뇌졸중이라는 것이 뇌혈관이 막혀서 발생하는 뇌경색 또는 허혈성 뇌혈관 질환입니다. 따라서 운동 기능을 담당하는 뇌 부분에 경색이 생겨 관련 세포가 파괴되면 운동능력이 떨어지거나 강직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