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어는 민물에서 사는데 왜 바다에서 알을 낳나요?
장어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장어는 신기하게도 민물에서 살면서
살란기가 되면 바다에서 알아르 낳는다고 하는데
그러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장어는 진화 과정에서 바다의 안정된 산란 환경을 이용해 알과 치어의 생존률을 높이도록 적응했기 때문에 민물에서 자라다가 성체가 되면 바다로 이동해 산란하는 독특한 생활사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장어는 카타드로무스여서, 알 부화에 적합한 따뜻한 심해, 영양 풍부한 바닷물서 번식해야 유생이 강으로 돌아오기 좋답니다.
장어는 민물 환경이 성장에 유리하고, 바다 환경이 유생의 생존과 분산에 적합하도록 진화했기 때문에 민물에서 살다가 바다에서 알을 낳습니다. 민물은 포식자와 경쟁자가 적고 먹이가 풍부하여 성체로 성장하기에 좋은 환경이지만, 뱀장어의 알과 버들잎 모양의 렙토세팔루스 유생은 오직 바다의 특정 염분과 수온, 환경에서만 생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성체가 된 장어는 자신의 유전자를 남기기 위해 먼 거리를 이동하여 태어났던 바다로 돌아가 산란하는 생존 전략을 선택한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장어는 민물에서 주로 자라지만, 산란은 먼 바다에서 하는 독특한 생활사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회유성 어류", 그중에서도 "강하산란성(catadromous)" 어종이라고 부르는데요, 우선 장어의 생활사를 정리해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서태평양의 깊은 해역, 대표적으로 마리아나 해구 인근의 사르가소 해역에서 산란을 하며, 투명한 잎 모양의 유생 상태로 수개월~1년간 바다를 떠다니다가 동아시아 연안으로 이동합니다. 이후 연안 강의 하구에서 민물로 올라가 자라며 수년간 생활하다가, 성장 후 생식 능력을 갖추면 다시 바다로 회유해 산란 후 생을 마칩니다. 이처럼 민물에서 서식하다가 바다에서 알을 낳는 행위는 진화적 적응의 결과라고 이해해볼 수 있을 것 같은데요, 장어가 바다에서 산란하는 이유는, 광활한 바다의 안정적 환경과 해류를 이용한 유생 확산에 있습니다. 바다 속 깊고 안정적인 수온과 염도는 알의 생존률을 높이며, 특히 해류(예: 쿠로시오 해류)를 따라 유생이 자연스럽게 동아시아 연안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또한 어린 장어는 민물에서 포식자가 적고, 먹이가 풍부하며, 경쟁이 덜한 환경에서 잘 자랄 수 있습니다. 즉, 민물은 성장기 장어에게 유리한 장소입니다. 이것은 성장과 생식의 장소를 분리함으로써 자손의 생존률을 높이는 진화 전략으로 이해됩니다. 게다가 한 곳에서만 산란하거나 성장하면 특정 지역의 환경 변화에 모두 영향을 받게 됩니다. 장어처럼 바다와 강을 오가는 전략은 개체군 분산(dispersal)을 도와 종 전체의 생존 안정성을 높이는 효과도 있습니다.
말씀하신 장어는 뱀장어를 말씀하시는 듯 한데, 바다에서 알을 낳는 이유를 아직 완전히 알지는 못하지만, 몇 가지 유력한 가설들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이유는 종족 번식에 가장 적합한 환경이 바다, 그중에서도 특정 심해 지역이기 때문입니다.
장어의 조상들은 원래 바다에 살았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오랜 진화 과정을 거치면서 먹이가 풍부한 민물로 올라와 생활하게 되었지만, 번식은 여전히 조상들의 서식지인 바다에서 하는 습성이 남아있을 수 있는 것이죠.
그리고 장어는 심해의 특정 지역, 대표적으로 필리핀 마리아나 해구 부근의 수심 400~500m 지점에서 산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지역의 바닷물은 염분과 수온, 그리고 바다눈과 같은 특수한 성분들이 산란과 부화에 최적의 조건을 만드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또한 바다에서 부화한 장어 새끼인 렙토세팔루스는 해류를 타고 이동하며 성장하게 됩니다. 이 시기를 거쳐 실뱀장어로 변태한 후 민물로 올라오는데, 이러한 복잡한 생활사가 치어의 생존율을 높이는 부분일 수 있습니다. 민물에서는 어미의 몸이 짠물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이 있고, 치어의 초기 생존에 필요한 환경 조건이 바다에 더 잘 갖춰져 있을 수 있는 것이죠.
결론적으로 민물이 장어가 어느정도 성장한 이후 성장하기에는 좋지만, 번식을 위해 바다로 나가는 것은 민물에서의 먹이 경쟁을 피하고, 치어가 생존에 유리한 바다 환경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